홍콩·마카오發 검역도 강화… 7일부터 PCR 의무화

입력 2023-01-04 04:05 수정 2023-01-04 04:05
푸른색 방역복을 입은 인천국제공항 관계자들이 2일 공항 제1여객터미널 입국장으로 들어오는 승객 중 중국발 입국자를 분류해 관련 서류 제출을 안내하고 있다. 정부는 이날부터 중국에서 출발한 입국자 전원에 대해 코로나19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의무 실시하고 결과가 나올 때까지 격리하도록 했다. 인천=권현구 기자

정부가 중국 본토에서 들어오는 입국자에 이어 홍콩과 마카오에서 출발한 입국자에 대한 코로나19 방역 조치를 강화하기로 했다.

방역당국은 홍콩·마카오 출발 입국자를 대상으로 7일부터 입국 전 유전자증폭(PCR) 검사 및 신속항원검사(RAT) 음성확인서 제출, 항공기 탑승 시 검역정보사전입력시스템(Q-CODE·큐코드) 입력을 의무화한다고 3일 밝혔다. 다만 중국 본토 출발 입국자에게 적용되는 입국 하루 내 PCR 검사, 단기비자 발급 제한 등은 제외한다.

코로나19 현황을 비교적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는 홍콩의 경우 코로나19 급증세가 뚜렷하다. 지난해 마지막 주 확진자가 14만821명으로 그 2주 전 9만1888명에 비해 53.2% 늘었고, 사망도 345명으로 2주 전보다 132명 늘었다. 지난달 홍콩 출발 입국자 중 확진자는 6명이다. 마카오 출발 입국자 중에는 확진자가 없었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중국 출발 입국자에게 방역 강화 조치가 적용된 뒤 이날 0시까지 하루 동안 전체 항공편과 선박을 종합해 국내에 들어온 중국 출발 입국자는 1131명이다. 이 중 단기체류자 309명이 공항·항만에서 PCR 검사를 받아 61명이 최종 확진됐다. 검사 인원 중 19.7%로 5명 중 1명꼴이다. 양성 판정을 받은 단기체류 외국인은 인근 임시재택시설에서 7일간 격리해야 한다. 입국 후 PCR 검사 비용 및 임시재택시설(호텔) 숙박비는 본인이 부담한다.

국내의 코로나19 위중증 환자는 이날 0시 기준 620명으로 사흘째 600명대를 유지했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