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정부 일자리 예산이 30조원 규모로 확정됐다. 구직 단념 청년에게 ‘도약준비금’ 300만원을 지급하는 등 민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직업훈련과 취약계층 취업 지원 예산이 확대됐다.
2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24개 부처의 181개 사업에 배정된 일자리 사업 예산은 모두 30조3481억원이다. 유형별로는 직업훈련, 창업지원, 장애인 지원고용 및 재활 사업 예산이 지난해보다 10% 이상 증가했다.
사업별로 보면 디지털 핵심 실무인재 3만7000명을 양성하는 데 4163억원이 투입된다.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지원을 위한 ‘능력개발전담주치의’ 제도와 ‘기업직업훈련 카드’ 신설에도 각각 71억원, 307억원이 배정됐다.
직업훈련을 희망하는 국민에게 비용을 지원하는 내일배움카드 훈련 장려금은 기존 월 11만6000원에서 월 20만원으로 인상됐다. 구직 단념 청년이 장기도약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면 250만원에 더해 이수 인센티브 50만원을 주는 가칭 ‘청년도약프로그램’도 신설된다. 청년 일경험지원사업도 553억3000만원을 증액해 직무탐색부터 실무경험까지 제공한다.
장애인 고용장려금 지급수준은 기존 80만원에서 90만원으로 상향된다. 장애인 구직자의 디지털 역량 습득을 위해 직업훈련 기반시설도 확충한다. ‘세금 알바’라는 비판을 받았던 직접 일자리 규모는 104만4000만명으로, 지난해보다 1만4000명 소폭 늘었다. 특히 노인 일자리가 전년 대비 3만8000개 증가했다.
반면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늘렸던 고용유지지원금은 일상회복 기조에 따라 지난해 5981억원에서 올해 1974억원으로 대폭 축소했다.
세종=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