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정부 인증을 받은 사회적기업은 428곳 늘어났다. 2007년 55개에 불과했던 사회적기업은 현재 3534개에 달한다. 이들의 고용인원은 6만6917명에 이른다. 사회적기업은 취약계층 일자리 제공 등의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서비스 생산·판매 활동을 하는 기업이다. 취약계층에 대한 일회성 지원보다 일자리를 줘 자립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이다. 하형소 노동부 통합고용정책국장은 “사회적기업은 성장과 복지의 선순환을 가능하게 만드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정부는 장애인 등이 단순히 지원·복지를 받는 대상이 아니라 어엿한 사회인으로 스스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사회적기업 관련 규제를 개선하고 있다. 사회적기업 인증제도를 폐지하고, 대신 서류심사를 통한 등록제로 전환된다. 인증제도가 취약계층에 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의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는 사회적기업 육성·발전을 위해 도입한 제도이지만 과도한 요건을 설정해 사회적기업에 부담을 줬다는 판단에서다.
기업들도 ‘상생’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내부 임직원을 대상으로 하던 C랩 프로그램을 외부에 개방해 ‘C랩 아웃사이드’를 운영한다. 지금까지 304개의 외부 스타트업을 지원했다.
포스코는 동반성장지원단을 통해 2년간 중소기업 46곳을 도왔다. 포스코에서 25년 이상 근무한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8명의 리더급 직원이 스마트 팩토리 구축, ESG 현안 해결, 설비·에너지 효율화, 기술·혁신, 품질개선 등 총 5개 분야에서 198건의 과제를 발굴해 지원했다.
CJ ENM은 신인 창작자 지원사업 오펜으로 창작자를 발굴하고 있다. 선발된 작가에게는 개인 집필실과 창작지원금을 개별 제공한다. 롯데홈쇼핑은 중소기업 상품 판매수수료율(2020년 기준)을 업계 최저 수준으로 낮췄다. 상품 편성 비중도 70%로 높이며 상생에 나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