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족들 “국회, 그동안 뭘했나”… 우상호 “첫 현장조사 의미”

입력 2022-12-22 04:08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우상호 위원장과 특위 위원들이 21일 참사 현장을 찾아 최성범 용산소방서장으로부터 당시 현장 상황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이날 첫 현장 조사는 여야 합동으로 진행됐다. 이한결 기자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가 21일 첫 현장조사에 나섰다. 참사가 발생한 지 53일 만에 이뤄진 국회 차원의 현장조사였다. 유족들은 “그동안 국회는 무엇을 했느냐”며 울부짖었다.

여야 특위 위원들이 이날 오전 서울 녹사평역에 마련된 시민분향소를 찾는 것으로 ‘완전체’ 국정조사의 첫발을 뗐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우상호 특위 위원장은 “첫 현장조사를 여야가 함께 시작하게 됐으니 거기에 의미를 부여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현장에서 “여당도 야당도 다 싫다. 너무 늦었다”고 소리치는 유족들에게 이같이 답한 것이다.

민주당의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해임건의안 처리에 반발해 국정조사 참석을 거부하던 국민의힘은 전날 유족들과 간담회를 가진 후 국정조사 특위에 복귀했다. 우 위원장은 “여야가 힘을 합쳐 진실과 책임소재를 규명하면서 재발방지책을 만드는 국정조사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조문을 마친 위원들은 참사가 발생한 이태원역 인근 해밀톤호텔 골목으로 향했다. 위원들은 소방 및 경찰 관계자들에게 “처음으로 사고가 발생한 곳이 어딘가” “경찰은 어디에 배치했나” “이 지점엔 몇 시에 도착했나” 등을 물었다. 답변이 나올 때마다 유족들은 “거짓말 말라” “경찰은 없었다”고 외쳤다. 우 위원장은 소방·경찰 관계자들에게 “이곳은 영원히 기억해야 할 현장”이라며 “이토록 좁은 골목에서 많은 국민이 고통받았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진 이태원파출소 현장조사에서 특위는 참사 전후 대응을 확인한 뒤 재발방지를 위한 의견을 청취했다. 경찰 관계자는 “인파 사고에 개입할 때 사람들을 어떻게 이동시킬 것인지, 지하철역으로 어떻게 갈 것인지, 일방통행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위원들은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이 참사 당일 올라갔다는 파출소 옥상을 둘러보기도 했다.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의 현장조사가 진행된 21일 종로구 서울경찰청 회의실에서 김광호 서울경찰청장이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김 청장의 답변 자격을 놓고 여야 특위 위원들이 충돌하기도 했다. 이한결 기자

서울경찰청 현장조사에서는 여야가 대치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보고체계에 대해 김광호 서울청장이 답변하려 하자 민주당 의원들이 “피의자가 왜 대답을 하느냐”고 반발했다. 천준호 의원은 “사건 의혹 당사자로 직무에서 배제돼야 할 사람이 계속 지휘라인에 있으면 그 지휘의 영향을 받는 사람들은 사건 지시를 은폐했다는 의혹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 장관 등 참사 책임자에 대한 문책을 국정조사 이후로 미루고 있는 정부·여당을 겨냥한 것이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답변을 하겠다는데 왜 그러냐”고 막아섰다.

서울시청 현장조사에선 오영환 민주당 의원이 “시장이 할 수 있는 위험구역 설정 등의 조치를 안 하지 않았냐”고 따져 묻자, 오세훈 시장은 “(출장지에서) 구두로 했다”고 반박했다.

이날 국회에서도 정부·여당을 향한 민주당의 공세가 이어졌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국민의 고통과 생명,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과 국민의 피눈물, 여기에 공감하지 못하는 정권은 패륜 정권”이라며 “국정조사를 방해하다시피 한 것, 희생자와 유가족들에게 했던 용인할 수 없는 망언, 2차 가해에 대해 사과하고 문책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위는 23일 용산구청과 행안부를 찾아 2차 현장조사를 실시한다. 다음 주에는 국무총리실과 대통령실 국정상황실 등으로부터 두 차례 기관 보고를 받을 예정이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