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2026년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에 대비한 자원순환센터(소각장) 건립을 위해 입지지역 인센티브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20일 밝혔다.
시는 2026년까지 1일 1485t의 소각용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신규 자원순환센터 3곳 건립과 송도자원순환센터 현대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 운영 중인 송도자원순환센터와 청라자원순환센터 등 광역소각장 2곳의 소각용량은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를 실현하기에 턱없이 부족하다.
그러나 시는 자원순환센터 건립을 위한 입지 선정에 계속 어려움을 겪고 있다. 관련법에 따른 지원만으로 입지지역 주민을 설득하는 게 쉽지 않기 때문이다. 폐기물시설 촉진법은 자원순환센터 건설비의 20%에 해당하는 주민편익시설 설치, 입지 외 지역의 반입수수료 가산금 10%에 해당하는 폐기물 감량사업비 지원만을 입지지역 인센티브로 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주민지원기금을 조성해 입지지역 주민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주민숙원사업 등을 고용과 연계해 일자리를 제공한다. 내년에는 입지 외 지역의 반입수수료를 20%로 상향하는 내용의 법 개정을 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다.
특히 자원순환센터 건립이 본격화하면 소각시설을 지하화·첨단화하고, 지상부에는 스포츠·체육·레저·공원시설과 문화·공연시설, 쇼핑아울렛·대형쇼핑몰 등 편익·선호시설을 조성한다. 최근 자원순환센터 건립 관련 시민인식조사에서 이들 주민친화형 편익시설이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다.
아울러 시는 자원순환센터에 대한 시민 거부감을 줄일 수 있도록 획기적인 디자인을 갖춘 굴뚝 등을 지역명소로 만들 방침이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