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숙선 명창이 오는 31일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완창판소리로 만정제 ‘춘향가’를 선보인다. 지난 9월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춘향가’ 보유자로 인정받은 뒤 펼치는 첫 완창 공연이다.
완창판소리는 판소리 한바탕 전체를 감상하며 그 가치를 오롯이 느낄 수 있는 공연이다. 매달 완창판소리를 선보이고 있는 국립극장은 12월 공연을 ‘송년판소리’(포스터)로 선보여 왔다. 안숙선 명창은 1986년 처음으로 국립극장 완창판소리 무대에 오른 이래 30회가 넘는 최다 출연의 기록을 세웠고, 국립극장에서 판소리 다섯 바탕(춘향가·심청가·흥보가·수궁가·적벽가)을 모두 완창한 유일한 소리꾼이다. 그리고 2010년부터 매해 12월 송년판소리와 함께해왔다.
안숙선 명창은 송년판소리 무대에서 약 10년 만에 만정제 ‘춘향가’를 부른다. 만정제 ‘춘향가’는 안 명창의 스승인 김소희(1917~1995) 명창의 호 ‘만정’에서 명명한 ‘춘향가’의 한 유파다. 김소희의 대표 소리로 꼽히는 ‘춘향가’는 다른 유파보다 춘향의 비극적인 상황이 두드러지는 것이 특징이다. 만정 김소희의 소리를 가장 잘 물려받은 애제자로 꼽히는 안숙선 명창은 맑고 우아한 소리 색채와 정확한 음정, 절제미 등이 스승의 소리와 가장 닮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번 무대에 안숙선 명창은 만정 소리를 계승하는 다섯 명의 제자, 유수정 전 국립창극단 예술감독, 국립창극단원 서정금, 소리꾼 이선희·박민정·박자희와 함께한다. 고수는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고법 보유자 김청만, 국립창극단 기악부장 조용수가 맡는다. 해설과 사회는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유영대가 맡아 관객의 이해를 돕는다.
장지영 선임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