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동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 신임 위원장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5·18 단체들은 12일 김 위원장 취임에 대해 “역사의 진실에 역행하는 조치”라는 비판 성명을 발표했다.
김 위원장이 비판받는 것은 역사 인식 때문이다. 김 위원장은 2020년 논문을 통해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의 헬기 사격은 허위사실’이라고 주장했고, 5·18 북한 개입설에 대해서는 ‘가능성 있는 의혹’이라고 썼다. 그러나 계엄군 헬기 사격은 국방부 5·18특별조사위원회가 2018년 몇 개월간 조사를 통해 사격이 있었다고 결론 내린 사안이다. 2020년 법원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감정 결과 등을 근거로 “헬기가 사격했다고 인정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김 위원장은 제주 4·3 사건을 ‘공산주의 세력에 의한 폭동’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진실화해위는 항일독립운동부터 한국전쟁, 권위주의 통치 시절 일어났던 민간인 희생, 인권 침해사건을 조사하고 진실을 밝히는 독립적인 정부 조사기관이다. 장관급인 위원장은 누구보다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을 갖춰야 한다. 편향된 주장을 해온 인사가 위원장을 맡는다면 위원회 조사 결과의 신뢰성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취임식에서 “역사는 항상 재해석되기 마련”이라고 말했다. 실체적 진실을 찾기 위해서는 다양한 토론과 검증이 필요하다. 그러나 법원과 국방부의 조사 결과를 부정하고, 과거 권위주의 시절의 왜곡된 해석을 되풀이하는 게 역사 재정립은 아닐 것이다. 지난 9월 임명된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장과 이배용 국가교육위원장도 이념적 편향성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김 위원장도 내정 단계부터 비판이 제기됐지만 임명이 강행됐다. 윤석열 대통령이 국민이 공감할 균형 잡힌 인물 대신 편향적 인물을 계속 기용하는 이유를 이해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