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외교장관은 12일 회담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 등 정상 간 교류 모멘텀이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긴밀히 소통해 나가기로 했다.
박진 외교부 장관과 왕이(王毅) 중국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이날 오후 4시 30분부터 1시간 15분간 화상 회담을 갖고 이같이 논의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이번 회담은 지난 8월 이후 4개월여 만에 열렸다. 지난 11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당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양국 간 고위급 교류 및 소통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이뤄지면서 개최하게 됐다.
양 장관은 지난달 정상회담이 상호존중, 호혜, 공동이익에 입각한 새로운 한·중 협력 시대를 여는 중요한 이정표가 됐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양 정상이 합의한 양국 관계 발전 방향에 따른 후속 조치 이행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과 시 주석은 첫 대면 자리에서 북한 핵·미사일 해법과 공급망 재편 문제 등을 두고 시각차를 드러냈다.
그럼에도 양 정상은 한·중 관계의 건강하고 성숙한 발전을 위해 다양한 채널을 통한 고위급 교류 및 소통을 활성화할 필요성에 공감했었다.
이날 양측이 장·차관급 대화, 1.5트랙 대화 등 다양한 수준에서 고위급 교류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기로 의견을 모은 만큼 향후 시 주석의 방한으로도 이어질지 주목된다.
박 장관과 왕 부장은 공급망 소통 확대, 문화콘텐츠 교류 활성화 등의 가시적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도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특히 문화콘텐츠 교류 활성화를 위해 박 장관은 ‘한한령’(限韓令·한류 금지령) 해제를 요구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중국은 한한령의 존재를 부인하지만, 우리 정부는 양국 간 문화콘텐츠 교류가 사드 배치에 따른 한한령이 시작된 2017년 이전 수준으로 회복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두 장관은 북한의 잇따른 무력도발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박 장관은 북한이 핵실험 등 추가 도발을 자제하고 비핵화 대화의 길로 나오도록 하는 것이 양국 간 ‘공동이익’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왕 부장은 “한반도 문제에 대해 건설적인 역할을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