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교수들이 ‘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다’란 의미의 ‘과이불개’(過而不改)를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정했다.
교수신문은 전국 대학 교수 9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과이불개가 50.9%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말은 논어의 ‘위령공편’에서 처음 등장한다. 공자는 ‘과이불개 시위과의(是謂過矣)’라고 했다. 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 것, 이것을 잘못이라 한다는 뜻이다.
박현모 여주대 교수(세종리더십연구소장)는 과이불개를 추천한 이유에 대해 “우리나라 지도층 인사들의 정형화된 언행을 이 말이 잘 보여주기 때문”이라며 “여당 야당 할 것 없이 잘못이 드러나면 ‘이전 정부는 더 잘못했다’ 혹은 ‘야당 탄압’ 등으로 말하면서 도무지 고칠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2위는 덮으려고 하면 더욱 드러난다는 욕개미창(慾蓋彌彰·14.7%), 3위는 여러 알을 쌓아놓은 듯 위태롭다는 누란지위(累卵之危·13.8%)였다. 4위는 과오를 그럴듯하게 꾸며내고 잘못된 행위에 순응한다는 문과수비(文過遂非·13.3%), 5위는 좁은 소견과 주관으로 사물을 그릇되게 판단하다는 군맹무상(群盲撫象)(7.4%)이 꼽혔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
올해의 사자성어 ‘過而不改’
입력 2022-12-12 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