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 닫은 정진상, 남은 14일… ‘李 인지’ 물증을 찾아라

입력 2022-11-29 00:04
정진상 더불어민주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이 지난달 18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고 있다. 뉴시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최측근인 정진상 민주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은 석방 시도 무산 이후 재개된 검찰 조사에서 줄곧 ‘조사실 묵비권’을 행사하는 것으로 28일 알려졌다. 대장동 개발 이익 중 428억원을 나눠받기로 약속했다는 등의 주요 혐의에 대해 정 실장은 “재판에서 다투겠다”는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검찰은 그의 구속 기간이 만료되는 다음 달 11일까지 혐의 내용을 다지면서 이 대표의 관련성도 계속 규명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부장검사 엄희준)는 이날 오후 구치소에서 정 실장을 재차 소환해 ‘대장동 뒷돈’ 혐의 등과 관련해 피의자 신문을 진행했다. 그러나 정 실장은 검찰 질문에 대부분 침묵으로 대응했다고 한다. 정 실장은 구속영장 청구 전 소환조사 단계에선 자신이 받는 혐의를 적극 반박하면서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과 대질신문까지 요구했었다. 하지만 지난 24일 법원의 구속적부심 청구 기각으로 석방이 무산된 이후엔 진술거부권 행사로 전략을 바꾼 것으로 풀이된다. 정 실장 측 변호인은 “법정에서 적극적으로 다투겠다는 취지”라며 “조사실에서는 (검찰) 질문만 받고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정 실장의 구속 기한을 최근 한 차례 연장하며 기소 및 공소유지를 위한 보강 수사에 전력하고 있다. 정 실장은 위례신도시·대장동 사업 특혜 제공 대가로 대장동 일당에게 1억4000만원 상당의 뇌물을 받는 등 4개 혐의로 수감된 상태다. 특히 검찰은 천화동인 1호 배당 이익 중 428억원을 정 실장과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유 전 본부장 세 사람이 나눠 받기로 약정했다는 혐의(부정처사후수뢰)와 위례 사업 관련 부패방지법 위반 혐의를 중심으로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위례·대장동 사업 과정에서부터 이 대표 측근그룹과 대장동 일당이 유착관계를 형성했으며, 이는 ‘정치적 공동체’로 묶이는 이 대표의 범행 공모 문제와도 연결된다는 것이 검찰이 바라보는 사건의 구조다. 검찰은 정 실장의 조사 태도와는 별개로 그간 확보한 물적 증거와 사실관계를 종합해 남은 14일 이내 그를 재판에 넘길 계획이다.

이 기간 이 대표를 대장동 의혹의 정점으로 지목한 유 전 본부장과 남욱 변호사 증언의 신빙성을 점검하고, 이 대표의 비리 인지 및 승인 여부를 입증하는 것도 수사 관건이다. 정 실장에 앞서 8억4700만원 불법자금 수수 혐의로 기소된 김 전 부원장은 다음 달 23일 첫 공판준비기일이 예정돼 있다.

검찰 안팎에선 이 대표의 최측근들을 가리켜 ‘단순 심부름꾼에 불과하다’는 야당 항변을 놓고 “그럼 심부름을 지시한 상전도 존재한다는 것 아니냐”는 말도 나온다. 한 법조인은 “측근들이 심부름꾼이라는 건 심부름을 시킨 사람은 따로 있다는 소리처럼 들린다”고 말했다. 검찰 관계자는 “증거와 사실관계를 기반으로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