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 대상 유아를 위한 유치원 특수학급을 400개 이상 늘리고 장애 학생과 비(非)장애 학생이 함께 다니는 통합 유치원도 확충한다.
교육부는 28일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주재로 사회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제6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2023∼2027)’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에는 장애 학생들이 맞춤형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부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이 추진해야 할 정책들이 담겼다.
정부는 현재 1437개인 유치원 특수학급을 오는 2027년까지 1837개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 통합 유치원은 8개에서 17개로 2배 이상 늘린다. 계획대로 되면 유치원 특수학급 설치율은 20% 이상이 될 전망이다. 현재 유치원 특수학급 설치율은 13.3%로, 초등학교(77.1%), 중학교(61.9%), 고등학교(47.4%)보다 현저히 낮다.
통합학급 장애 학생을 지원하기 위해 특수교사 배치도 늘릴 계획이다. 특수교사 배치는 특수학교·학급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지만, 장애 학생과 비장애 학생이 공존하는 통합학급에서도 특수교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또한 학생과 교원의 장애 인식 수준을 진단하는 ‘학교장애인식지수’를 개발해 이르면 2024년부터 일선 학교에 보급하기로 했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