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피격 공무원 월북 조작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1부(부장검사 이희동)는 24일 서훈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검찰은 서 전 실장을 상대로 고(故) 이대준씨의 자진 월북 의사를 판단한 근거와 정보 삭제 지시 여부, ‘윗선’ 개입 여부를 추궁했다.
서 전 실장은 2020년 9월 이씨 피격 직후 열린 관계장관회의에서 이씨의 월북을 속단하고, 이에 어긋나는 정보를 삭제토록 국방부 등 관계부처에 지시한 혐의를 받는다. 검찰은 앞서 발부된 서욱 전 국방부 장관의 구속영장에 그가 서 전 실장과 ‘공모’ 했다는 내용을 기재했었다. 서 전 실장은 이날 조사에서 진술을 거부하지 않았고 때로 적극적으로 혐의를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지난달 기자회견에서 “근거 없이 월북으로 몰아간 적도, 자료 삭제를 지시한 적도 없었다”고 주장했다.
문재인정부의 대북 안보라인 최고 책임자였던 서 전 실장에 대한 직접 조사는 지난 8월 16일 압수수색 이후 3개월여 만에 이뤄졌다. 안보실장에 앞서 국가정보원장이었던 그는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3부가 수사하는 탈북어민 강제북송 사건에서도 조사 대상이다. 검찰은 서 전 실장 구속영장 청구를 검토하고 있다.
이경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