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해운업 올스톱 공포… 정부 ‘피해 최소화’ 비상대책 가동

입력 2022-11-24 04:05
화물연대 총파업을 하루 앞둔 23일 오후 경기도 의왕시 내륙컨테이너기지(ICD)에서 군 관계자들이 국토교통부 비상수송차량에 현수막을 부착하고 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는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와 적용 차종·품목 확대 등을 요구하며 24일부터 총파업에 들어간다. 연합뉴스

정부는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인한 물류 차질에 대비해 ‘경제 피해 최소화’ 총력 대응을 예고했다. 산업계도 자동차 공급난이 한층 악화될 가능성 등에 대비하고 있지만 마땅한 방도가 없는 상황이다.

정부는 23일 집단운송거부에 대비한 비상수송대책본부를 운영하고, 차질 없는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한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5일을 마지막으로 화물연대와 공식적인 교섭을 하지 않고 있다. 이에 지난 6월보다 파업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 6월 총파업의 경우 8일 만에 양측이 극적으로 타협하면서 마무리됐었다.

국토부는 집단운송거부 기간 중 정상적으로 운송에 참여하는 차주들에 대해 고속도로 통행료를 면제해주기로 했다. 관세청은 부산·인천·광양·평택 4개 주요 세관에 ‘비상통관 지원반’을 설치하고 비상통관체계를 가동한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과 인천항만공사(IPA)는 파업에 대비해 총 43만2100㎡ 규모의 임시 컨테이너 장치장을 마련했다. 주요 물류기지에서는 신고센터가 운영돼 화물을 제때 수송하지 못하는 화주에게 배차 등 안내가 이뤄질 예정이다.

이밖에 국토부는 군·지자체·물류 단체 등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군 위탁 컨테이너 차량 등 관용 차량을 투입한다. 또 필요시 철도공사의 컨테이너·시멘트 운송 열차를 탄력적으로 증차 운행하고, 화물연대에 가입하지 않은 운휴 차량을 활용해 대체 수송에도 나선다.

산업계에도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완성차 업계의 경우 파업 장기화로 부품 수급이 막히면 자동차 공급난이 한층 악화할 수 있다. 완성차 출고 지연도 피할 수 없다. 현대차는 사무직 직원까지 차량 운송에 동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해운·물류업계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화물연대가 최고 수위의 파업을 예고한 만큼 다양한 대응방법을 강구 중이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통상 배가 들어오기 3일쯤 전에 항구에 물건을 갖다 놓는데 요즘은 1주일 전에 미리 옮겨 놓는다. 하지만 파업이 장기화하면 치명타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상대책반을 꾸린 기업도 있다. 한 완성차 물류회사는 “비상대책반을 구성해서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직원이 직접 소비자에게 물건을 나르는 로드탁송 등 다양한 대응방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또 다른 물류회사 관계자는 “물류는 수출입과 제조까지 긴밀하게 엮여 있어 파업이 길어질수록 산업계가 입을 타격은 엄청날 것”이라고 전했다.

사실상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이 거의 없다는 탄식도 나온다. 건설사 관계자는 “올해 들어서 이런 위기가 잦아진 것 같다. 공정 순서를 바꿔가며 최대한 대처하겠지만 건설사가 할 수 있는 게 거의 없다. 파업이 전방위적이라 공급선을 다변화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정부가 빨리 나서주길 바라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국무역협회는 이날 화물연대 파업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출물류 비상대책반’을 꾸렸다. 화물연대 동향 파악, 피해 상황 모니터링, 피해신고센터 운영, 대정부 건의 등의 역할을 한다.

세종=신재희 기자, 이용상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