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과 남욱 변호사 등 ‘대장동 세력’의 폭로전에 더불어민주당에서 내부 분열 조짐이 보이자 친명(친이재명)계 핵심 인사들이 앞장서서 분란 조기 진화에 나섰다. 표면적으로는 친명계뿐 아니라 비명(비이재명)계도 ‘단일대오’를 형성한 모습이지만, 당 일각에서는 ‘이재명 책임론’도 분출되고 있다.
친명계 좌장인 정성호 의원은 22일 YTN라디오 인터뷰에서 “(나도 이 대표와) 정치 공동체”라고 말했다. 검찰이 이 대표의 최측근인 정진상 대표실 정무조정실장에 대한 압수수색영장에서 정 실장과 이 대표를 ‘정치적 공동체’로 규정한 것을 빗댄 말이다.
이 대표와 사법연수원 동기인 정 의원은 “제가 이 대표를 오랫동안 지켜봐 왔는데, 그는 부정·비리를 저지를 사람이 아니다”며 “국민에게 이 대표에 대한 유죄의 심증을 심어주기 위해 검찰이 불법적인 피의사실 공표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정청래 최고위원도 KBS라디오 인터뷰에서 “검찰이 공소장에서 (이 대표와 정 실장을) 정치적 공동체라고 하는데, 그러면 저도 이 대표와 정치적 공동체”라며 “민주당 국회의원은 모두 이 대표와 정치적 공동체”라고 강조했다.
한 친명계 의원은 “정 실장과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이 구속되기는 했지만, 이 대표에 대한 직접적인 물증이나 진술은 하나도 없는데 무슨 내분이 일어나겠느냐”고 말했다.
비명 진영에서도 지금은 단일대오를 이뤄야 한다는 메시지를 냈다. 이낙연계인 이병훈 의원은 입장문에서 “지금 민주당은 윤석열 정권과 검찰의 야당 탄압에 맞서 하나가 될 때”라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이낙연계 의원들이 다음 달 단체로 미국을 방문해 이낙연 전 대표를 만날 것’이라는 언론 보도에 대해서도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친문재인계 한 의원도 “윤석열정부와 검찰이 노리는 것이 민주당 분열이라는 게 뻔히 보이는데 그 장단에 맞춰줄 필요가 있겠느냐”고 말했다.
하지만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가 당 전체로 번지는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는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수도권의 한 비명계 의원은 “정진상, 김용, 이 대표에 대한 혐의가 엄밀히 말하면 모두 개인 비리라서 당이 ‘정치 탄압’을 명분으로 방어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이 대표) 본인 말대로 비리에 대해 완전무결하다면 먼저 대표직에서 물러나 결백을 증명한 후에 돌아와야 본인도 살고, 당도 살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이 대표를 향해 “이제 역사의 무대에서 내려와 달라”고 요구했던 김해영 전 최고위원도 이날 페이스북에 “솥이 뒤집어졌으면 솥 안의 막힌 것들을 비워내고 새롭게 채워야 한다”고 적었다.
박용진 의원은 김용 부원장의 직무를 정지해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박 의원은 CBS라디오 인터뷰에서 “이분들(김용·정진상)의 문제와 위험이 당으로 이전되지 않도록 분리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승욱 안규영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