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윤 ‘이상민 사퇴 공세’ 방어막… “스스로 결단해야” 목소리도

입력 2022-11-18 04:08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17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2023년도 행안부 예산안이 통과된 후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여야는 행안부 경찰국 예산을 당초 정부안보다 10% 삭감하고, 정부안에서 전액 삭감됐던 지역사랑상품권 예산을 5000억원 증액했다. 연합뉴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거취를 두고 정부와 여당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친윤석열계 의원들이 ‘수습과 책임 규명이 우선’이라며 야권의 이 장관 사퇴 공세에 방어막을 치고 있지만, 당내에서도 자진 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어서다.

당권 주자인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17일 KBS라디오에서 이 장관 거취와 관련해 “사실 법적인 책임을 따질 게 아니지 않나”라며 “정치적·도의적 책임을 지는 게 맞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그러면서 “이 장관이 잘못했다기보다도 그러는 것이 대통령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길이고 윤석열정부가 성공할 수 있는 길”이라며 “불명예스럽다고 그렇게 말하기보다는 스스로 결단을 해주시라고 계속 말씀드린다”고 덧붙였다. 사퇴 시점과 관련해서는 “가능한 한 빠른 시간 내에 수습하고 정리하는 것이 좋겠다. 그게 제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야당에서 이 장관 책임론을 부각하며 해임건의안까지 검토하고 나선 만큼 ‘자진 사퇴 카드’로 더 수세에 내몰리는 상황을 피해야 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국민의힘 한 초선의원은 “야당의 공세와 여론에 밀려서 마지못해 사퇴하는 모양새가 최악”이라며 “빨리 결단을 내려서 이번 사태에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지도부와 친윤계 의원들은 여전히 사태 수습이 우선이라며 이 장관을 엄호하는 모양새다. 국민의힘 소속 정우택 국회부의장은 BBS라디오에서 “지금은 행안부 장관의 사퇴를 운운하기보다는 진실 규명, 대안 마련, 사태 수습에 국정을 집중해야 할 때가 아닌가 생각한다”며 “경찰청 특별수사본부 수사 판단에 따라 본인도 스스로 결정할 상황이 된다면 결정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친윤 핵심인 장제원 의원은 전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지금 이 시간 본인을 향해 무겁게 짓누르는 그 책임감 때문에 하루하루 열심히 일하고 있다고 믿는다”며 “참사 없는 재난 시스템을 만드는 게 지금 이 장관에게 부여한 엄중한 책임”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김진표 국회의장은 이날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와 관련해 여야에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구성을 공식 요구했다.

김 의장은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에게 보낸 공문에서 오는 21일까지 ‘조사 목적, 조사할 사안의 범위와 조사방법, 조사에 필요한 기간’ ‘국정조사 특위 구성 시 위원 수, 교섭단체별 배분방안’ ‘교섭단체별 국정조사 특위 후보 위원 명단’을 제출해 달라고 요구했다.

장동혁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이에 대해 “수사가 우선이고, 국정조사 요구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기존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국민의힘이 21일까지 특위 명단을 제출하지 않을 경우, 범야권 의원들로 특위를 구성하고 국정조사 계획서를 24일 본회의에서 처리한다는 방침이다.

박민지 구승은 최승욱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