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중력지대 아십니까?… 서울시, 청년공간 재구조화 나선다

입력 2022-11-18 04:05
8월 19일 열린 서울청년활동지원센터 이전 개관식.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박원순 전 시장 만들어진 청년 공간들에 대한 개편 작업에 나선다. 시는 현재 5개 유형인 시설을 2개 유형으로 축소하는 등 대부분 시설을 통폐합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청년공간 역할 재정립과 전달체계 간소화 등 중장기 목표와 5대 개선 과제 등을 담은 ‘서울 청년공간 재구조화 종합계획’을 마련, 시행한다고 17일 밝혔다.

시는 앞서 2013년 신설된 청년허브를 시작으로 5개 유형(청년활동지원센터·청년허브·서울청년센터·무중력지대·청년교류공간)의 청년공간 21곳을 만들었다. 하지만 청년 공간들을 두고, 공간 간 기능이 겹치거나 역할이 불분명해 비효율적으로 운영된다는 지적이 적지 않았다. 이 때문에 청년 공간들은 지난해 시가 진행한 ‘서울시 바로세우기’ 감사 대상에 오르기도 했다.

시는 현재 5개 유형의 청년공간을 2024년까지 ‘광역’과 ‘지역’의 2개 유형으로 통폐합한다. 구체적으로 청년활동지원센터(1곳)와 청년허브(1곳)는 2024년까지 통합해 서울광역청년센터로 재탄생한다. 올해 민간위탁 기간이 종료되는 무중력지대(6곳)는 서울청년센터(12곳)와 합쳐진다. 시는 서울청년센터를 2024년까지 모든 자치구에 각각 1곳씩 마련할 예정이다.

서울청년센터는 생활권 내 일반적 청년 정책 집행이나 자립준비청년 등 취약청년 지원 사업 등을 수행한다. 서울광역청년센터는 서울청년센터의 교육·평가 등 총괄적인 행정 지원에 집중할 방침이다.

시는 서울 청년공간의 브랜드와 사업명 전반에 대해 시민 의견과 설문조사를 실시해 공감대를 높일 수 있는 용어와 슬로건 등도 재정비할 계획이다.

아울러 다양한 청년조직과 소통을 늘리기 위해 시, 자치구, 청년센터, 청년단체 등이 참여하는 서울청년공간 정책협의회를 운영한다. 협의체는 청년 지원 기본계획 수립, 의견 조정, 협의사항 등을 심의·의결할 방침이다. 김철희 서울시 미래청년기획단장은 “서울 청년공간은 더 복잡해진 청년 문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기능을 한 단계 높여야 하는 시점이 됐다”며 “시가 사각지대 없이 모든 청년에게 맞춤형 정책서비스를 지원하는 역할을 다하도록 운영수준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