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최측근 김용(구속 기소) 민주연구원 부원장과 정진상 당대표실 정무조정실장이 제20대 대선 경선을 위한 조직 구축 작업에 들어간 2020년 9월 무렵부터 ‘대장동 일당’을 압박해 ‘실탄’을 마련하려 한 것으로 의심한다. 이 시기 전후 이 대표 및 선거캠프 관계자들의 행적은 김 부원장에게 전달된 수억대 자금의 용처 파악에도 주요 단서가 될 수 있다고 검찰은 본다.
14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이 대표는 경기지사 시절인 지난해 1월 광주 지역에서 그를 지지하던 ‘희망사다리포럼’이 공식 출범한 지 사흘 만에 광주를 방문해 지역 원로들을 만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표의 광주 지지 조직은 희망사다리포럼을 시작으로 같은 해 2월 ‘희망22포럼’, 3월 ‘공정사다리포럼’ 등 1개월 간격으로 3개가 조직됐다.
검찰은 2020년 7월 이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이 대법원에서 무죄 취지로 파기 환송된 뒤의 ‘경선 캠프 조직화 방안’ 수립, 광역별 조직 구성 등 일련의 과정을 면밀히 파악해 왔다. 호남 지역 기선 제압을 위한 이 대표와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 간 경쟁 구도가 대장동 민간사업자들에 대한 김 부원장 등의 자금 요구 배경이 됐을 가능성을 보는 것이다. 검찰은 당시 김 부원장 등이 호남을 특별관리 지역으로 집중 공략한다는 방침을 세운 점, 경선 전략으로 ‘사람·비용·공간’ 등 3요소를 제시했다는 점을 김 부원장의 공소장에 적었다.
이런 상황에서 김 부원장과 정 실장,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본부장이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가 약속했던 대장동 개발 이익 분배를 통한 자금 충당 방안을 염두에 뒀고, 2020년 9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김씨에게 약정한 돈을 달라고 요구했다는 게 검찰의 시각이다. 그런데 김씨가 자금을 대지 않자 이 대표 측근들은 “돈이 나올 곳은 남욱 변호사밖에 없다”고 결론 내렸다는 게 검찰이 보는 구도다. 검찰은 이후 지난해 4~8월 김 부원장에게 8억4700만원이 전달됐다고 판단했다. 이 대표가 이 돈이 불법자금이라는 점을 인지했는지, 대장동 일당으로부터의 자금 조달 필요성에 공감했는지 등을 규명하는 게 향후 수사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광주뿐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 발족한 이 대표 지지 모임들을 대상으로도 수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부원장 공소장에는 ‘기본소득운동본부’ ‘대동세상연구회’ ‘민주평화광장’ ‘공명포럼’ 등이 올라 있다.
한편 검찰은 정 실장을 15일 뇌물 혐의 등을 받는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정 실장은 2013~2020년 성남시 정책비서관과 경기도 정책실장을 지내면서 위례·대장동 민간사업자로부터 각종 청탁 명목으로 1억4000만원을 받은 혐의 등을 받는다. 앞선 정 실장의 압수수색영장에는 이 대표가 성남시장 재선에 성공한 2014년 지방선거 직전에 대장동 민간업자로부터 선거캠프로 4억원이 흘러들어간 정황도 기재됐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