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3차원 라이다(LiDAR)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 스타트업인 서울로보틱스와 인프라 기반 자율주행(ATI) 사업 협력을 한다고 14일 밝혔다(사진). 3D 라이다는 자율주행의 눈으로 불린다. 서울로보틱스는 3D 라이다의 영상을 인공지능(AI) 기반으로 인지 분석하는 소프트웨어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이다. KT와 서울로보틱스는 ATI 시장 활성화를 위해 국내외 차량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대상 ATI 사업, 자율발렛주차(AVP) 파일럿 사업, 자율주행 분야 신사업 모델 개발 등의 협력 과제를 단계적으로 발굴해 진행할 예정이다.
기존 일반적 자율주행은 차량에 내장된 센서와 소프트웨어만 활용한다. 반면 ATI는 레이저빔으로 주변 물체와 거리를 감지하는 라이다 센서, 컴퓨터를 외부시설에 구축해 차량 위치를 파악한다. 원격으로 자율주행도 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하면 모든 영역에서 운전자 개입 없이 자동차를 운행하는 자율주행시스템인 레벨5 자율주행이 가능해진다. 최강림 KT AI 모빌리티사업단장(상무)은 “KT가 보유한 모빌리티 관련 통신 소프트웨어 인프라 역량과 서울로보틱스의 혁신적 기술의 협업을 바탕으로 완전자율주행 실현에 앞서 제조업, 물류업 등에서 더욱 안전하고 신뢰도 높은 자율주행 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