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한국 경제성장률이 1%대까지 떨어질 것이라는 국책연구기관의 전망이 나왔다. 미국 등 주요국 금리 인상 영향으로 고물가·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며 국내외 경기가 둔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0일 발표한 ‘2022년 하반기 경제전망’에서 내년 경제성장률을 1.8%로 예측했다. KDI는 지난 5월 내년 경제성장률을 2.3%로 제시했는데 6개월 만에 0.5% 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이는 기획재정부(2.5%)와 한국은행(2.1%)뿐 아니라 경제협력개발기구(2.2%)와 국제통화기금(2.0%) 등 국제기구 전망치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KDI가 1%대 경제성장률을 예고한 것은 이례적이다. 2%에 미치지 못하는 경제성장률은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0.7%)과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0.8%), IMF 외환위기 때인 1998년(-5.1%) 정도에 그친다. 실제로 내년 경제성장률이 1%대에 머무른다면 2009년 이후 가장 낮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물가 상승 없이 달성할 수 있는 최대치의 경제성장률을 뜻하는 잠재성장률(2.0%)보다 낮다는 점도 위기 신호로 읽힌다. 그만큼 한국경제가 복합 위기에 노출됐다는 진단이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현재 경기 회복 국면이 마무리되는 시기로 보고 있다. 내년 국내 경제는 경기 둔화 국면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KDI는 올해 경제성장률도 기존 전망치보다 0.1% 포인트 하향한 2.7%로 수정했다.
한국이 저성장 기조에 접어든 것은 수출 부진 영향이 크다. KDI는 내년 한국 수출증가율이 물량 기준 1.6%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10.1%)와 올해 예상치(4.3%)를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KDI는 코로나 사태 안정으로 국가 간 서비스 수출은 늘어나지만 세계 경기 둔화로 반도체를 비롯한 상품 수출이 둔화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내수 동반 하락도 예상된다. 내년 경상수지 흑자 폭은 올해(230억 달러)의 3분의 2 수준인 160억 달러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민간 소비 증가율은 실질 구매력 저하로 올해(4.7%)보다 1.6%포인트 낮은 3.1% 수준에 머물 것으로 전망됐다. 물가 상승세가 내년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KDI는 내년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지난 5월 전망치(2.2%)보다 1.0% 포인트 높은 3.2%로 전망했다.
다만 유가 안정의 영향으로 올해 예상치(5.1%)보다는 물가 상승 폭이 떨어질 전망이다. KDI는 내년 하반기로 갈수록 물가 상승률이 낮아질 가능성이 높아 스태그플레이션(고물가 속 경기침체) 우려는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기 둔화 전망도 속속 발표되고 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이날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에 발표했던 3.6%에서 2.4%로 1.2% 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세종=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