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원인과 책임 소재를 수사 중인 경찰청 특별수사본부가 ‘위험분석 보고서 삭제 의혹’ 핵심 참고인인 서울 용산경찰서 정보관을 소환조사하는 등 광범위한 관계자 진술 청취를 진행하고 있다.
특수본은 이태원 참사를 앞두고 ‘대규모 인파가 몰려 사고가 우려된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작성한 용산서 정보관을 10일 불러 조사했다. 직속 상관인 용산서 정보과장과 계장은 이 정보관 PC에 저장돼 있던 해당 보고서를 삭제할 것을 지시한 혐의로 입건된 상태다.
특수본은 박성민 서울청 공공안녕정보외사부장이 정보보고서 삭제에 관여한 정황도 포착해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확인 중이다. 박 부장에 대한 조사는 경찰청 특별감찰팀 수사 의뢰에 따른 것이다. 박 부장은 일선 경찰서 정보과장들이 모인 메신저 대화방에 “감찰과 압수수색에 대비해 정보보고서를 규정대로 삭제하라”고 말한 것으로 조사됐다. 규정대로라면 ‘목적 달성’이 끝난 정보보고서는 폐기하도록 돼 있지만 ‘감찰과 압수수색에 대비해’라는 표현이 문제가 된 것으로 풀이된다.
특수본은 이와 함께 용산구 재난문자 담당 공무원과 서울종합방재센터 직원도 소환해 조사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시청 상황실은 참사 당일인 지난달 29일 오후 10시53분 행정안전부로부터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을 통해 ‘재난문자방송 송출(필요시)’이라는 상황 재난문자 발송 요청을 받았다. 시청 상황실에선 그 직후 용산구청 당직실에 여러 차례 전화했으나 연결되지 않았다. 용산구 재난문자 담당자는 오후 11시27분 서울시에 전화로 회신했으며, 이후 44분이 지나서야 재난문자를 발송했다. 서울시는 긴급 상황임을 고려해 용산구보다 빠른 오후 11시56분 직접 문자를 보냈다.
한편 참사 당일 ‘각시탈을 쓴 사람들이 참사 당일 아보카도 오일을 길에 뿌려 사고가 났다’는 주장과 관련해 특수본은 해당 남성 2명을 특정해 조사했다. 경찰은 이들 2명을 상대로 당일 행적과 동선을 따져볼 계획이다. 앞서 2명의 신원은 SNS에서 확산된 영상과 목격자의 진술을 근거로 특정됐다.
김용현 기자 fa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