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 유행 공식화 속… 전담병원 축소 움직임

입력 2022-11-11 04:04
서울 송파구 송파구보건소 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서 한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사전 문진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코로나19 제7차 유행 국면에도 전담병상 축소에 무게를 싣고 있다. 과거의 유행 양상보다 위중증 환자 부담이 적을 거란 판단에서다.

10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말까지 남은 코로나19 거점전담병원 계약을 갱신 않고 종료할 계획이다. 내년 초 코로나19 전담병상 규모가 현재보다 상당량 줄 것이란 걸 의미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특별한 예외 상황이 없다면 (전담병상) 전체 규모는 축소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거점전담병원은 그간 코로나 병상 확보에서의 중심 역할을 했으나 정부 재정이 매달 1000억원 넘게 지원됐다. 지난달도 정부는 51개 거점전담병원에 모두 1222억원을 지원했다.

정부는 병상 추가 확보에 소극적인 모습이다. 6차 유행 당시 정부는 하루 신규 확진 20만명 규모에 대비해 병상 7000여개를 마련했다. 이번 유행은 이르면 다음 달 최대 하루 18만~20만명 수준의 정점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현재의 병상은 약 6000개다.

정부 판단에는 이전보다 확진자 대비 위중증 발생 부담이 덜하다는 전망이 깔려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6차 유행 때는 앞선 유행인 올 1~2월 위중증 양상에 따라 준비했다. 이번에는 6차 유행 때이 수치를 근거로 판단했다”고 했다. 유행이 거듭되면서 병원 체류기간, 확진자 중 입원 비율 등이 떨어졌다는 설명이다.

정부는 다음 달 중순 유행 추이를 다시 분석해 거점전담병원 재지정 여부를 가릴 계획이다. 다만 의료현장에서는 일부 혼란이 예상된다. 병원협회 관계자는 “지정 해제 자체로도 다른 환자를 금방 재확보하기 어려운 중소·공공병원의 타격이 클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날 0시 기준 일일 신규 확진자는 5만5365명으로 1주 전인 지난 3일보다 8478명 늘었다. 입원 위중증 환자는 323명, 사망자는 52명으로 집계됐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