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6일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한덕수 국무총리 사퇴를 포함한 전면적 국정 쇄신을 요구하며 윤석열정부를 향한 압박 수위를 끌어올렸다. 국가애도기간이 전날 종료되자 ‘포스트 추모 정국’의 주도권을 쥐기 위해 ‘정부 책임론’ 공세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민주당 ‘이태원 참사 대책본부’는 6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통령과 중앙정부, 지방정부, 경찰 등 누구든 참사 책임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이 언론과 진상조사에서 드러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정 최고 책임자인 대통령의 공식 사과와 전면적인 국정 쇄신, 한 총리 경질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윤희근 경찰청장·김광호 서울경찰청장의 파면, 여당의 국정조사 수용 등을 요구했다.
대책본부장인 박찬대 의원은 “수사 대상인 경찰의 셀프 수사로 참사의 진실을 명명백백하게 밝혀내리라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은 자명하다”며 국정조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최근 윤 대통령이 3일 연속 종교 행사에서 참사 관련 사과를 했지만, 대통령 직위와 권한에 적합한 사과를 해야 한다”며 “대국민 사과문, 담화문 형태로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국가애도기간이 마무리된 만큼 정부·여당을 향한 참사 책임론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당 지도부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추모기간이 끝났는데도 이 장관 등 참사 관련 책임자에 대해 아무런 조치를 안 하고 있다”며 “공세 수위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임오경 대변인도 국회 브리핑에서 “이제 규명과 책임의 시간”이라며 “참사 원인부터 대응까지 그 전모를 투명하게 밝히고 책임 소재를 물으라는 국민의 요구에 응답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홍근 원내대표는 페이스북에서 “종교 행사 추도사를 빌려 내놓은 윤 대통령의 뒤늦은 사과를 피해자와 유가족, 국민이 어떻게 받아들였겠나”라며 “정부와 자신의 연이은 명백한 잘못을 놓고 왜 그토록 사과에 인색하고 주저하는지 납득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이태원 참사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요구서를 오는 10일 국회 본회의에 보고할 방침이다. 당 지도부의 한 의원은 “국민의힘과 대화해보겠지만 끝내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단독으로도 요구서를 제출할 계획”이라며 “그러나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조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만큼 끝까지 국정조사를 거부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야는 7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사 관련 책임자들을 불러 현안 질의를 진행한다. 이 장관과 오세훈 서울시장, 윤 청장, 김 서울청장, 남화영 소방청장 직무대리, 박희영 용산구청장이 출석할 예정이다. 다만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 사고 당일 서울경찰청 상황관리관으로 근무한 류미진 전 인사교육과장, 송병주 용산서 112상황실장은 수사 대상이라는 등의 이유로 출석이 어렵다고 행안위 여야 간사에게 양해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안규영 김승연 기자 ky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