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용산署 “기동대 경력 지원 요청, 서울청이 거절했다” 주장

입력 2022-11-03 04:03
‘이태원 참사’ 부실 대응을 수사하는 경찰 특별수사본부가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 용산구청 등에 대해 강제수사에 착수한 2일 오후 종로구 서울경찰청 입구 모습. 연합뉴스

서울 용산경찰서가 이태원 핼러윈 행사 기간 서울경찰청에 기동대 경력 지원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주말 도심집회로 인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를 들었다고 한다. 결국 경비기동대가 아닌 교통기동대가 배정됐는데, 이마저도 오후 9시 집회 관리가 끝난 뒤 넘어오는 20명이 전부였다. 이에 서울경찰청은 용산서로부터의 공식적인 기동대 지원 요청은 없었다는 입장이다.

2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용산서 경비과와 112상황실은 핼러윈 치안 대응책 논의 과정에서 서울청 측에 기동대 지원이 필요하다는 뜻을 피력했다. 다만 경비 부서를 통한 공식 요청은 이뤄지지 않았다. 그 2주 전 열린 ‘이태원지구촌축제’에도 토요일 도심 집회로 인한 인력 부족 탓에 기동대 배치가 되지 않았던 터라 ‘이번에도 어렵지 않겠느냐’는 내부 의견도 있었다고 한다.

용산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핼러윈 인파 집중 가능성에 대비해 실무자를 통해 “경력 지원이 필요하다”고 거듭 요청했다고 한다. 회의적 반응에 결국 서울청에 올린 보고서에는 ‘교통기동대 지원’을 요청했으나, 보고서에 일반 기동대가 필요하다는 취지를 충분히 설명했다는 게 용산서 입장이다. 교통기동대는 일반 경비대 내부에 ‘교통활동 전문’으로 지정된 부대를 말한다. 일반 경비대와 달리 경비과가 아닌 교통과에서 직접 운영한다.

하지만 교통기동대 지원 인력도 1개 기동대(70~80명) 규모가 아닌 1개 제대(20여명)에 그쳤다. 이마저도 대통령실 근처 삼각지역 집회 관리가 끝난 뒤인 오후 10시에 이태원 지역으로 넘어왔다. 근무 시간도 이튿날 교대 근무를 위해 자정까지 2시간가량만 지원하는 것으로 제한했다.

지난 1일 오후 한 시민이 핼러윈데이 압사 사고 희생자 추모공간이 마련된 이태원역 1번 출구 안내봉에 국화꽃을 매달아 두었다. 연합뉴스

참사 당일인 지난 29일 교통기동대가 이태원 현장에 도착한 시각은 오후 9시30분쯤이었다. 당시는 이미 몰려드는 인파에 “압사당할 것 같다”며 경찰 출동을 요청하는 112 신고가 7~8건 접수된 상황이었다. 용산서 측은 군중 밀집에 “교통기동대를 빨리 배치하면 좋겠다”고 재촉했지만 기동대 도착이 늦어졌다고 주장한다. 한 경찰 관계자는 “기동대가 이태원을 2차 근무지로 두지 않고 처음부터 행사 지원인력으로 배치됐다면 현장 통제가 가능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서울청은 “공식적으로 (용산서의) 기동대 지원 요청은 없었으며, 교통기동대 투입 결정 역시 용산서에서 자체적으로 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다른 경찰 간부는 “보름 전 이태원지구촌축제 준비 당시 ‘행사 관리는 수익자(주최자)가 부담해야 하는 것 아니냐. 경찰이 모든 걸 다 해결해주기 어렵다’는 의견이 있어서 기동대가 지원되지 않았었다”며 “핼러윈은 특히 주최측이 없는 행사여서 보다 적극 요청하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경찰청은 참사 당일 경찰의 112 신고 부실 대응 논란과 관련해 이임재 용산경찰서장을 대기발령 조치했다. 이 서장이 정상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신임 서장직은 임현규 경찰청 재정담당관(총경)이 맡는다.

이형민 김판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