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국민의 안전한 먹거리 확보와 미래 농업으로의 전환을 위해 지역 주도 식량산업 대전환을 추진한다. 2026년까지 이모작 전문 생산단지를 조성하는 방안이다.
경북도 농업기술원은 2일 상주 함창들녘에서 청년농업인, 쌀 전업농, 유관기관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논 이모작 확대를 위한 국산밀 파종 연시회’를 가졌다.
연시회에서는 식량산업 대혁신 추진 계획, 국산밀 작부체계 및 용도별 적합 품종에 대한 소개와 함께 함창 들녘 1㏊에 과거의 씨 뿌림 파종법과 광산파, 세조파, 드론이용 산파 등의 현재 파종방법까지 다양한 파종법을 선보였다.
국산밀 파종은 경북도내 전 지역을 대상으로 지난달 25일 동부권(경주 안강읍 노당리 들녘, 40㏊), 2일 북부권(상주 함창 들녘, 132㏊)에 실시했다. 8일에는 남부권(구미시 해평 들녘, 71㏊)에서 진행한다.
또 2026년까지 콩과 밀, 가루쌀과 밀, 조사료와 조사료 등 이모작 전문 생산단지를 조성해 밀 2000㏊, 콩 1만5000㏊, 조사료 3만㏊로 생산을 증대해 곡물 자급률 향상과 쌀값 안정화에 적극 대응할 방침이다.
도 농업기술원은 들녘단위 단지화, 기계화로 원료곡 생산 저변을 확대하고 가공단지 조성 등 전후방산업을 육성해 생산-가공-소비 유통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다양한 상품개발, 인력양성, 대내외 협력 강화 등 단계적 경북 농업 대전환 추진에도 주력하고 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