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가 발생하기 약 4시간 전부터 “안전사고 우려가 있다”며 인파 통제를 요청하는 112 신고가 11건이나 접수됐던 것으로 드러났다. 직접적으로 “압사당할 것 같다”라며 위급 상황을 알리는 신고도 거듭됐다. ‘예상할 수 없었던 사고’라는 정부와 경찰의 그간 설명과 달리 참사 몇 시간 전부터 사고 현장에서 경고음이 빗발쳤던 것이다. 경찰은 뒤늦게 현장 대응이 미숙했음을 시인하고 고강도 내부 감찰에 착수했다.
윤희근 경찰청장은 1일 대국민 사과와 함께 “사고가 발생하기 직전 현장의 심각성을 알리는 112 신고가 다수 있었던 것을 확인했다. 사고 발생 이전부터 군중이 몰려 사고의 위험성을 알리는 급박한 내용들이었다”고 밝혔다.
경찰청에 따르면 참사 당일인 지난 29일 오후 6시34분 압사 우려에 대한 첫 신고가 접수됐다. 사고가 벌어진 해밀톤 호텔 옆 골목에서 접수된 신고였다. 경찰이 공개한 접수 녹취록을 보면 신고자는 “골목에 지금 사람들이 오르고 내려오고 하는데 너무 불안하거든요. 계속 밀려 올라오니까 압사당할 것 같아요… 소름 끼쳐요”라고 말했다.
신고자가 전한 당시 상황은 약 3시간40분 뒤에 실제 벌어진 참사 상황과 유사하다. 신고자는 “굉장히 좁은 골목인데 이태원역에서 내리는 인구가 다 올라오는데 메인스트리트에서 빠져나오는 인구와 섞이고…”라고 설명했다.
해당 신고자는 “지금 아무도 통제 안 해요. 경찰이 통제해서 인구를 좀 뺀 다음에 안으로 들어오게 해 줘야죠”라며 출동을 요청했다. 이때 경찰은 현장에 나갔지만 일시적으로 통행 흐름이 해소되면서 별다른 조치 없이 복귀한 것으로 전해졌다.
첫 신고 이후 압사가 우려된다는 내용의 신고가 오후 9시를 전후해 집중되기 시작했다. 오후 9시에 112로 전화를 건 신고자는 “인파가 너무 많아 대형 사고가 나기 일보 직전이에요. 여기 와서 통제해야 할 것 같아요”라고 말했다. 2분쯤 뒤에는 “진짜 사람 죽을 것 같다”는 다른 신고가 접수됐다. 9시7분 신고에서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 압사당할 위기다. 일방통행 할 수 있게 통제를 부탁한다”면서 구체적인 대응 방안까지 제시됐다. 참사 발생 4분 전인 오후 10시11분까지도 “압사될 것 같다. 다들 난리 났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이날 이태원에서의 압사 관련 신고만 11건이 접수됐지만 경찰이 실제 현장에 출동해 종결한 것은 4건에 불과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7건은 전화 상담 등 현장 출동 없이 마무리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최단 시간 내 출동하라는 ‘코드0’ 지령이 1건, 우선 출동하라는 ‘코드1’ 지령이 7건 떨어졌음에도 현장에 출동한 것은 1건에 불과했다. 112 신고를 접수한 경찰조차 밀집한 군중 때문에 신고 장소에 접근하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 출동한 4건의 경우는 정상적으로 마무리된 것으로 보고됐다.
경찰청은 참사 직전 이런 다수의 112 신고 접수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왜 제대로 된 조치가 취해지지 않았는지를 규명하기 위한 내부 감찰에 들어갔다. 현장 출동 경찰관과 관할인 용산경찰서, 서울경찰청 112상황실 등을 대상으로 적절한 보고와 후속 조치가 이뤄졌는지를 확인하고 있다.
동시에 서울경찰청에 꾸려진 수사본부도 독립성이 보장된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손제한 경무관)로 전환됐다. 모두 501명이 투입된 특별수사본부는 이태원 참사의 원인과 책임 소재에 대한 수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