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경찰 부실 대응’에 곤혹… 커지는 이상민 비판론

입력 2022-11-02 04:06
정진석(오른쪽 두 번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일 국회에서 필립 골드버그(왼쪽 두 번째) 주한 미국대사를 만나 면담에 앞서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묵념을 하고 있다. 이한형 기자

국민의힘은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발언 논란이 정부·여당을 향한 비난 여론으로 이어질까 전전긍긍하는 분위기다.

설상가상으로 경찰의 ‘112 신고’ 늑장 대응이 터져 나오자 곤혹스런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1일 국회에서 원내대책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이 장관 발언에 대해 “적절한 발언이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만 “애도 기간에는 정쟁을 지양하고, 사고 원인이나 책임 문제에 관해서는 그 이후에 논의될 것”이라며 “5일까지는 제 의견을 말씀드리지 않는 게 좋겠다”고 밝혔다.

여당 내에서는 이 장관을 무작정 엄호하기는 어렵다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영남권의 한 의원은 “사태를 수습하는 것과는 별개로 정부·여당으로서 정치적·도의적 책임을 어떻게 질 것인지도 중요하다”며 “그런 측면에서 이 장관을 마냥 옹호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정쟁으로 쏠리는 상황을 막기 위해 정책적 개선책 마련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성일종 정책위의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개정안 발의를 준비 중”이라며 “주최 측이 없는 행사에도 지방자치단체나 정부가 명확하게 개입할 수 있도록 하고, 밀집 지역이나 사고 우려 지역에서 위험 신호를 전파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이르면 이번 주 내에 개정안을 발의할 계획이다.

가짜뉴스 확산 방지에도 힘을 쏟고 있다. 주 원내대표는 “가짜뉴스는 피해자와 유족에 대한 2차 가해일 뿐만 아니라 국민 분열과 불신을 부추기며 많은 사회적 비용을 치르게 하고 있다”며 “지금은 희생자를 추모하고 사고 수습에 집중할 때”라고 강조했다.

정현수 구승은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