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의 8억원대 불법자금 수수 혐의에 대한 검찰 수사가 반환점을 돌았다. 김 부원장이 ‘조사실 묵비권’을 행사하는 상황에서 검찰은 공여자·전달자 진술과 여러 물증을 바탕으로 혐의 입증 총력전에 돌입했다. 오는 8일 구속기간 만료 이전까지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를 최대한 다져 김 부원장을 재판에 넘긴 뒤 자금 용처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의 연결고리 부분을 계속 규명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부장검사 강백신)는 31일 수감 중인 김 부원장을 재차 소환해 조사를 이어갔다. 수사팀은 지난 22일 김 부원장 신병을 확보한 후 28~29일을 제외하고 연일 불러 고강도 조사를 벌여왔다. 다음 주 초 수사를 마무리 짓고 김 부원장을 기소해야 하는 만큼 이번 주가 수사 분수령인 상황이다.
하지만 김 부원장은 검찰이 이 대표를 겨냥한 질문을 계속하는 등 ‘정치 수사’를 벌이고 있다고 주장하며 일절 진술을 거부하고 있다. 이날 조사에서도 그는 입을 열지 않았다고 한다. 김 부원장은 지난해 4~8월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등에게 4차례 모두 8억4700만원을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필요한 수사를 절차에 따라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조사실에서 침묵한 김 부원장은 변호인을 통해 입장을 내고 금품수수 혐의를 거듭 부인했다. 지난해 9월 대장동 비리 수사 직전 유 전 본부장에게 1억원을 돌려줬다는 의혹과 관련해 “돈을 받은 적이 전혀 없으므로 돌려준 적도 있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앞서 김 부원장 체포 및 자택 압수수색 과정에서 그의 휴대전화를 확보했지만, 김 부원장이 비밀번호 제공을 거부해 내용 파악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관계자는 “피의자 방어권 행사의 일환으로 본다”고 말했다.
검찰은 동시에 이 대표를 향한 압박 강도도 높이는 모습이다. 검찰은 김 부원장을 상대로 2009년 8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서 열린 ‘공동주택 리모델링 활성화 정책세미나’에서 그가 이 대표, 유 전 본부장과 함께 찍은 사진을 제시하며 행사 전후 사실관계를 확인했다. 이 대표는 당시 성남정책연구원 소속으로 주제 발표를 했고, 유 전 본부장과 김 부원장은 각각 정자2동·야탑3동 소재 아파트 리모델링 추진위원장으로 참석했다. 2006년 성남시장 첫 출마에서 득표율 23.75%로 고배를 마셨던 이 대표는 2010년 같은 선거에서 51.16%로 당선에 성공했다. 검찰은 당시 민주당 열세 지역이었던 분당구에서 이 대표 득표율이 20.86%에서 44.63%로 뛰어오른 경위도 확인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안팎에선 김 부원장 공소장에 이 대표와 유 전 본부장 등 이른바 ‘경기·성남라인’의 오랜 관계가 담길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검찰은 앞서 ‘대장동 판박이’로 불리는 위례신도시 비리 사건으로 유 전 본부장 등을 기소할 때 공소장에 이 대표 이름을 18차례 등장시켰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