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금 2000만원·장례비 1500만원, 전담 공무원 지원도

입력 2022-11-01 04:07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31일 서울광장에 설치된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를 찾아 국화를 들고 분향소 안으로 이동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별다른 발언 없이 헌화와 묵념을 한 뒤 자리를 떴다. 김지훈 기자

정부가 이태원 압사 참사 사망자에 위로금 2000만원, 장례비 최대 1500만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3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유가족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사망자 장례비를 1인당 최대 1500만원까지 실비 지급하고, 이송 비용도 지원한다. 위로금 성격의 구호금은 관련 규정에 따라 사망자 2000만원, 부상은 정도에 따라 500만∼1000만원이 지급된다.

유가족과 지방자치단체 전담 공무원 간 일대일 매칭을 통해 필요한 지원을 하기로 했으며, 전국 31개 장례식장에도 공무원을 파견해 원활한 장례를 도울 예정이다.

또 부상자의 실치료비는 건강보험 재정으로 우선 대납하고, 중상자는 전담 공무원을 매칭해 집중 관리할 방침이다. 부상자 본인뿐 아니라 가족의 심리치료, 외국인 부상자 및 구호활동 중 부상자도 포함해서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와 함께 유가족, 부상자 등에 대해서는 세금, 통신요금 등을 감면하거나 납부를 유예하기로 했다.

하지만 정부 관계자들이 브리핑 과정에서 질문에 제대로 답변하지 않아 부실 논란도 이어졌다. 정부 관계자들은 브리핑 시간이 20분으로 제한돼 있다는 이유를 들어 절반 이상의 질문에 답변하지 않았다. 특히 김 본부장은 “질문을 모두 다 소화해야 하냐”고 말하기도 했다.

과거 이태원 핼러윈 축제 당시 통제 상황 및 인파 추이,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경찰·소방력 배치로 대응 불가능했다”는 발언이 정부 공식입장인지 등을 묻는 말엔 끝내 답변하지 않았다.

한편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서울시청광장에 마련된 합동분향소 방문을 제외한 모든 일정을 취소하고 시청에서 회의를 계속 주재하는 등 사고 수습에 집중했다. 1일 예정된 내년 시 예산안 발표도 기획조정실장이 하기로 했다. 본예산안 발표는 통상적으로 시장이 직접 발표해왔다.

서울시는 우선 국가 애도기간에는 사고 수습에만 집중할 방침이다. 시는 전날 부상자 상태 모니터링, 유가족별 전담공무원 배치, 화장시설 가동횟수 증가·심리 치료 등의 내용을 담은 사고 수습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장례 절차 등이 마무리된 이후 안전사고를 대비한 서울시 차원의 종합 대책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시 관계자는 “책임 소재를 떠나서 서울시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종합 대책을 준비하고 있다”며 “국가 애도기간 이후에는 발표가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