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입력 2022-11-01 04:03
지난달 제11호 태풍 힌남노로 침수 피해를 입은 포스코 포항제철소 공장 모습.

제11호 태풍 힌남노로 피해를 입은 경북 포항지역이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됐다.

포항시는 31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돼 피해기업 설비 복구, 경영안전자금, 산업단지 기반 재정비, 철강산단 구조전환 촉진 등 17개 사업에 6396억원을 지원받는다고 밝혔다. 지정기간은 2024년 10월 30일까지 2년 간이다.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은 예상치 못한 대내외 충격 등으로 지역 주력 산업의 악화가 예상되는 경우 지정한다. 올해 2월부터 시행된 ‘지역산업위기 대응 및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특별법’ 시행과 함께 도입했다. 포항시 지정이 첫 사례다.

정부는 올해 안으로 포항에 긴급 경영안정자금을 투입하고 대출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 등 금융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또 내년 이후 예산을 활용해 기업 위기 극복지원, 포항철강산업단지 재해 예방 인프라 구축, 단기 연구개발 및 사업화 지원, 철강산업단지 경쟁력 강화 등의 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수도권 기업의 지방 이전 시 지급되는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 비율은 산업위기 대응특별지역과 동일한 수준으로 조정한다. 중소기업 기준 입지 투자액은 기존 30%에서 50%로, 설비 투자액은 9%에서 24%로 각각 높인다.

포항은 지난달 태풍 힌남로로 포스코 포항제철소가 49년 만에 처음으로 조업을 중단했고 철강산업단지 내 기업 100여곳이 피해를 입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으로 천문학적인 태풍 피해를 입은 철강공단 기업체와 시민들의 부담을 덜어 국가기간산업이 흔들리지 않고 굳건히 제자리를 찾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