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호 태풍 힌남노로 피해를 입은 경북 포항지역이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됐다.
포항시는 31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돼 피해기업 설비 복구, 경영안전자금, 산업단지 기반 재정비, 철강산단 구조전환 촉진 등 17개 사업에 6396억원을 지원받는다고 밝혔다. 지정기간은 2024년 10월 30일까지 2년 간이다.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은 예상치 못한 대내외 충격 등으로 지역 주력 산업의 악화가 예상되는 경우 지정한다. 올해 2월부터 시행된 ‘지역산업위기 대응 및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특별법’ 시행과 함께 도입했다. 포항시 지정이 첫 사례다.
정부는 올해 안으로 포항에 긴급 경영안정자금을 투입하고 대출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 등 금융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또 내년 이후 예산을 활용해 기업 위기 극복지원, 포항철강산업단지 재해 예방 인프라 구축, 단기 연구개발 및 사업화 지원, 철강산업단지 경쟁력 강화 등의 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수도권 기업의 지방 이전 시 지급되는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 비율은 산업위기 대응특별지역과 동일한 수준으로 조정한다. 중소기업 기준 입지 투자액은 기존 30%에서 50%로, 설비 투자액은 9%에서 24%로 각각 높인다.
포항은 지난달 태풍 힌남로로 포스코 포항제철소가 49년 만에 처음으로 조업을 중단했고 철강산업단지 내 기업 100여곳이 피해를 입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으로 천문학적인 태풍 피해를 입은 철강공단 기업체와 시민들의 부담을 덜어 국가기간산업이 흔들리지 않고 굳건히 제자리를 찾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