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환(사진) 경기 고양시장은 “고양시는 성공적으로 경제자유구역을 완성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갖췄다”면서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통해 고양시에 혁신을 이뤄내겠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31일 국민일보 인터뷰에서 “고양시가 경기북부 경제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최적의 입지를 가지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미래를 바꾸는 데는 엄청난 에너지가 소요된다. 어려운 혁신의 동력을 고양시가 만들어내겠다는 의지를 담아 ‘미래를 바꾸는 힘 고양’을 시정 슬로건으로 정했다”면서 “취임 1호 결재로 경제자유구역추진TF를 꾸려 빠르게 진행하고 있고 얼마 전 경기경제자유구역청에 지정신청서를 제출했다”고 설명했다.
이 시장은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글로벌 기업과 국내복귀기업에 대한 세제 감면과 경영활동 지원, 규제완화 같은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게 돼 각종 기업이 자리잡고 싶은 도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고양시엔 1992년 인구 26만 신도시계획에서 인구 27만이 더해져 53만 인구 수준의 인프라가 갖춰져 있다. 여기에 정부의 공공주택지구 지정 등으로 인구가 108만으로 증가했다”며 “53만에 맞춰 구축된 인프라는 108만이라는 인구를 담아내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고양시 모든 지역을 과밀억제권역으로 묶어놓고 학교, 연구시설, 공장 승인을 제한했다. 규제로 인해 낮아진 재정자립도와 세수 부족으로 인프라 추가 구축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고양시는 과밀억제권역, 개발제한구역, 군사시설보호구역이라는 삼중규제를 받아 공장이나 대학교를 유치할 수 없는 환경이다. 이 시장은 경기북부 규제완화를 위해 지난 8월 국토교통부 장관을 만나 과밀억제권역 일부를 성장관리권역으로 조정해 줄 것과 공업지역 물량 추가 배정을 건의했다.
이 시장은 “앞으로 고양시에는 창릉3기 신도시, GTX 대곡역세권 등 각종 개발사업이 진행 중이거나 예정돼 있다”며 “이 사업들이 제 기능을 발휘하도록 국토부와 경기도는 과밀억제권역에서 취소·축소되거나 기능을 상실한 공업지역 물량을 조사해 재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