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거주 외국인 주민 수는 2년 연속 감소한 213만여명으로 나타났다. 한국 국적을 가지지 않은 외국인 근로자는 대폭 줄고, 한국국적을 가진 인구는 늘어났다. 행정안전부는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2021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에 담아 31일 발표했다.
2021년 11월 1일 기준 국내 외국인주민 수는 213만4569명으로, 전년보다 2만1848명(1%) 감소했다. 현황 발표를 시작한 2006년 이후 외국인 주민이 처음으로 감소한 2020년에 이어 2021년에도 감소세가 지속됐다.
이 중 한국국적을 가지지 않은 자가 164만9967명(77.3%)으로 가장 많았고, 한국국적을 취득한 자는 21만880명(9.9%)이었다. 이밖에 출생한 외국인 주민 자녀는 27만3722명(12.8%)이었다. 2020년보다 한국국적을 가지지 않은 자는 4만5676명(2.7%) 감소했지만, 한국국적을 취득한 자는 1만1752명(5.9%) 늘고 외국인 주민 자녀도 1만2076명(4.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경기 71만4497명(33.5%), 서울 42만6743명 (20.0%), 인천 13만4714명(6.3%), 충남 12만4492명(5.8%), 경남 12만3074명(5.8%) 순으로 외국인 주민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군·구별로는 안산(9만4941명), 수원(6만5885명), 시흥(6만4570명), 화성(6만2542명), 부천(5만3080명) 순으로 집계돼 외국인 수가 많은 상위 5개 지역이 모두 경기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국적을 가지지 않은 자의 증감 내역을 구체적으로 보면, 외국인 근로자는 6만112명(13.2%) 감소해 전체 외국인 주민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유학생은 1만4038명(9.8%) 증가해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수준을 회복했고, 외국국적 동포도 2만3471명(6.8%) 늘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이 통계에서 정의하는 외국인 주민은 본인 또는 부모 중 적어도 한 명이 출생시 또는 현재 외국 국적을 가진 이주 배경이 있는 사람이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