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의 ‘불법 정치자금 8억원’ 수수 혐의를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부장검사 강백신)는 김 부원장을 상대로 대장동 개발사업 초기 단계인 2005년까지 거슬러가며 사실관계를 확인 중인 것으로 30일 알려졌다. 2010년 7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성남시장 당선 이전부터 그와 인연을 맺어온 김 부원장 조사를 통해 대장동 사업이 이뤄지는 과정 전반과 이 대표 관여 여부를 원점부터 재구성하려는 작업으로 풀이된다.
검찰은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이 제공한 아이폰 클라우드 비밀번호 등을 바탕으로 이 대표의 각종 선거 과정에서 활동한 소위 ‘외곽 부대’도 눈여겨보고 있다. 정진상 민주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과 김 부원장이 참여했다고 알려진 ‘정무방’을 비롯해 산하기관 임원장 모임, ‘법조팀’ 등 단체 대화방에서 오간 논의 내용 등에 대해서도 추가 수사를 벌이고 있다. 유 전 본부장은 최근 “김 부원장에게 건넨 돈은 이 대표의 경선 자금으로 쓰인 것으로 안다”고 폭로했었다.
검찰은 김 부원장과 함께 이 대표 ‘성남·경기라인’의 핵심인 정 실장의 역할도 규명하고 있다. 정 실장 주변에 대한 계좌 추적과 함께 선거 과정에서 역할을 들여다보며 본격 수사에 대비하고 있다. 정 실장은 이 대표의 성남시장·경기지사 선거 캠프에서 핵심 참모였고, 이 대표 당선 이후 성남시 및 경기도 정책비서관(비서실 정책실장)으로 각각 근무하며 지근거리에서 보좌했다.
정 실장은 이 대표의 공식 선거 출마 시점보다 한발 먼저 공직에서 물러난 뒤 선거캠프 구성 등 ‘선발대’로 활동하기도 했다. 그는 이 대표가 지난해 대선 경선을 위해 경기지사를 사퇴하기 석 달 전인 지난해 7월 경기도 정책실장을 그만두고 이 대표 캠프 구성의 밑그림을 그렸다. 또 2017년 19대 대선 경선을 앞두고도 이 대표 선거 지원을 위해 성남시 정책실장에서 물러났다. 그해 4월 성남시회의에선 “(정 실장이)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의무를 어겼다”는 질타가 나오기도 했다. 유 전 본부장도 이 대표 성남시장 재선을 앞둔 2014년 4월 “곧 돌아오겠다”며 성남도개공에 사의를 밝힌 뒤 이 대표가 재선에 성공하자 복직했었다.
한편 서울중앙지검 형사3부(부장검사 김수민)는 이날 가짜 수산업자 김모(43·수감 중)씨에게 포르쉐 렌터카 등 금품을 받은 혐의(청탁금지법 위반)로 박영수 전 특별검사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조사했다.
양민철 조민아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