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등 제2 금융권의 고금리 특판 상품이 인기다. 다올저축은행이 최근 연 6.5%대 정기예금을 판매하자 개점시간에 사람이 몰리는 오픈런 현상이 나타났으며 일부 신협에서 내놓은 7%짜리 적금 상품도 순식간에 완판됐다. 지난 27일에는 서울 관악신협이 연 10% 금리의 특판 적금을 선보이기도 했다. 제2 금융권에서는 “오늘 금리가 가장 싸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상품 금리 높이기 경쟁이 이어지는 중이다.
기준금리 인상 흐름이 지속되는 가운데 주식·부동산 등 자산시장의 침체가 겹치면서 제2 금융권 예·적금 상품의 상종가는 예상된 일이다. 문제는 건전성이다. 저축은행이 사업성을 보고 자금을 지원하는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의 익스포져(위험도 노출) 규모는 2008년 5조2000억원에서 올 상반기 말 10조8000억원으로 두 배를 넘었다. PF대출 연체율도 지난해 상반기 말 1.2%에서 올해 1.8%로 뛰었다. 지난 정부 때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자 2금융권이 부동산 대출에 경쟁적으로 나선 탓이다. 리스크 관리 여력이 충분한 시중 은행 등 1금융권과 달리 부실 우려가 높을 수밖에 없다.
이런 가운데 레고랜드발 자금 경색이 시작됐고 시중 은행들이 자금 싹쓸이에 나서자 2금융권도 고육지책으로 고금리 경쟁에 나선 셈이다. 자금이 한순간에 몰린다면 자칫 뱅크런 등의 사태가 날 경우 충격은 훨씬 크다. 노무현정부 시절 저축은행들이 무분별하게 PF대출을 늘리다가 금융위기 후 줄도산 난 저축은행 사태가 대표적 사례다. 업계와 당국의 주의를 당부하지 않을 수 없는 이유다. 수익보다 중요한 게 고객 돈 보호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이런 점에서 금융위원회가 최근 저축은행의 다중채무자 충당금 의무적립비율을 대폭 상향하는 등 리스크 관리에 나선 것은 적절하다. 소비자들도 금리 수치만 보지 말고 해당 금융권의 재무 상황 등을 꼼꼼히 따져 상품을 고르는 안목을 키울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