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서해 표류 당시 “중국 어선 유무 파악 못해”

입력 2022-10-27 04:06
김규현 국가정보원장이 26일 서울 내곡동 국정원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있다. 김 원장은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과 관련해 "당시 중국 어선이 주변에 있었는지 유무를 파악 못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회사진기자단

국가정보원은 26일 국회 정보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으로 숨진 이대준씨의 서해 표류 당시, 인근 해역에 중국 어선이 있었다는 감사원의 발표에 대해 “중국 어선이 주변에 있었는지 유무를 파악 못했다”고 밝혔다.

감사원은 이씨가 최초 실종된 시점부터 발견되기까지 약 38시간 동안 군 당국이 확인한 인근 해역 배가 중국 어선뿐이었다고 지난 14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이씨가 중국 어선에 의해 잠시 구조됐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와 관련해 정보위 국민의힘 간사인 유상범 의원은 브리핑을 통해 “국정원장이 구명조끼에 간체자가 쓰여 있었는데, ‘그와 같은 구명조끼는 국내에는 없는 것으로 안다’고 답변했다”고 말했다.

서해 피격 공무원 고 이대준씨의 형 이래진(오른쪽)씨가 26일 서울 용산 국방부 종합민원실에서 중국 어선 조사 요청서를 제출하기 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정원은 ‘중국 어선에 국정원 소속 휴민트(Humint·인적 정보)가 있었다’는 의혹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확인해줬다”고 유 의원이 전했다.

김 원장은 또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의 주요 정보들을 SI(특별취급정보) 첩보들을 통해 파악하고 있다”면서 “SI에 월북이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이어 감사원이 이씨의 표류 사실을 국정원이 합동참모본부 발표 51분 전에 확인했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사실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김 원장은 문재인정부 당시 쌍방울그룹이 대북 사업권 대가 지급 등을 위해 수십억원의 외화를 중국으로 밀반출한 의혹에 대해선 “그 부분에 대해서는 파악하지 못했다”며 “아태평화교류협회(아태협) 안부수 회장의 방북 부분에 대해선 일부 파악하고 있었다”고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원장은 북한의 7차 핵실험 시기와 관련해 “미국의 11월 중간선거(11월 8일) 전까지 가능성이 있다”는 기존 정보분석을 유지했다. 유 의원은 북한이 금강산 관광지구에 있는 남측 시설을 철거했다는 언론 보도와 관련해 “금강산 관광시설이 철거된 현장 사진을 위원들이 보고 받고 확인했다”면서 “대부분 철거돼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여야 모두 국정원을 대상으로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동향을 사전에 파악했는지를 질의했다. 김 원장은 “미국 의회에서 법안이 통과되기 전에 그 내용을 파악했고, 관계부처에 관련 내용을 전파했다”고 답했다.

이런 상황에서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과 관련해 군사 기밀 기록을 삭제·조작한 의혹으로 검찰 수사를 받는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과 박지원 전 원장은 27일 민주당이 개최하는 기자회견에 나선다. 이 기자회견에는 문재인정부 당시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과 이인영 통일부 장관, 정의용 안보실장 등도 참석해 현 정부의 발표를 반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승은 기자 gugiz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