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선교 먹구름… ‘기독교판 일대일로’ 확산 우려

입력 2022-10-27 03:02
사진=AFP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3연임 확정 이후 기존의 종교활동 제한 정책이 한층 더 강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국내 선교계 및 중국 선교 전문가들은 ‘기독교판 일대일로’ ‘제2의 문화대혁명’을 언급하면서 현지 선교 및 신앙활동에 대한 짙은 먹구름을 예상했다. 선교사 파송에 집중하던 기존의 중국 선교 방식에도 획기적인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선교사·가정교회 통제강화 예고


익명을 요구한 중국 전문가 A교수는 26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시진핑 3기에는 2018년 발표한 중국의 ‘신 종교사무조례’의 기본 정신인 ‘법치’가 강화되면서 불법적인 종교활동에 대한 강력한 단속이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그가 말한 불법적인 종교활동이란 선교사와 현지 가정교회의 활동을 말한다. 중국 정부가 인정하는 삼자교회와 중국기독교협의회(CCC)의 활동만 인정하겠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미 중국은 온·오프라인상에서의 종교활동을 강하게 통제하고 있다. 특히 지난 3월부터 온라인 교회 금지령을 내리면서 이른바 ‘디지털 박해’가 시작됐다. 예배 스트리밍이나 설교, 출판 등 인터넷 종교관련 활동을 할 경우 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또 단체나 개인은 ‘종교의 이름으로’ 온라인 헌금(또는 기부)을 할 수 없도록 했다. 이보다 앞서 중국 당국은 이미 등록된 교회를 대상으로 얼굴 인식이 가능한 CCTV를 설치해 감시하고 있다. 오프라인 교회는 폐쇄하거나 철거하고 있다. 중국 기독교인 인구는 통계 주체 등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2020년 기준으로 4000만~1억명까지 오르내린다.

A교수는 “시진핑의 종교관은 사회적 순기능은 적극 독려하고 역기능은 억제하는 것인데 순기능이란 복지·빈민·구제 등이 속하고, 역기능은 미신적·비과학적 요소로 복음의 영역”이라며 “서구 반공 사상을 경계하면서 중국 사회주의에 적응하는 기독교를 원한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기조는 결국 선교사 파송을 중심으로 한 전통적 중국 선교 시대는 끝났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대신 한국교회가 삼자교회와 중국의 대학과 공식적으로 교류하는 좁은 길을 찾아야 한다고 A교수는 제안했다.

‘기독교판 일대일로’ 밀어붙이나

이홍정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총무는 “CCC의 활동이 대폭 확대되고 이를 통로로 중국의 입장을 세계교회로 알리려는 노력이 빨라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현재 CCC는 아시아기독교협의회(CCA) 가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CCC가 협의회에 합류하면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 교회들이 중국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 총무는 “한국의 선교사 파송을 철저하게 견제하는 것은 물론이고 삼자교회마저 완벽한 통제 속에 두려는 시도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중국 선교사 출신의 B목사는 “중국 기독교가 국제사회의 전면에 나선다면 다른 나라 교회들의 중국교회 의존도가 높아질 것”이라며 ‘중국 기독교판 일대일로’의 가능성을 언급했다. 일대일로는 중국과 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를 말한다. ‘중국판 식민정책’이라는 비판이 있다.

가정교회, 극심한 탄압 타깃되나

노성천 한국세계선교협의회(KWMA) 협동총무는 “중국 법체계에서 벗어나 있는 가정교회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이 예상된다”면서 “제2의 문화대혁명 수준의 탄압이 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문화대혁명은 1966년부터 10년간 마오쩌둥에 의해 주도된 극좌 사회주의운동을 말한다.

노 총무는 “다만 가정교회는 고난을 거치면서 성숙할 것”이라며 “지금은 새로운 형태의 중국 선교 모판을 짤 때”라고 제안했다. 새로운 선교 모판은 선교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노 총무는 “이미 많은 중국 기독교인이 해외로 이주했고 중국에서 사역하던 선교사들도 추방됐다”면서 “이들이 중국 선교를 위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10년 앞을 내다보는 선교 토대를 닦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창일 기자 jangc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