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사진) 민주연구원 부원장의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를 둘러싼 자금 조성자, 전달자, 공여자의 ‘8억여원 전달’ 정황은 대체로 일치한다. 검찰 역시 관련자 진술과 물증을 확보해 자금 조성부터 전달 과정을 재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김 부원장 측은 8억원 수수는 사실이 아니라며 검찰 수사가 ‘조작’이라고 맞서고 있다.
‘자금을 갖다준 사람’으로 지목된 정민용 변호사 측은 지난 24일 대장동 사건 재판이 끝난 뒤 취재진에게 “(자금을) 만든 사람, 갖다준 사람, 전달한 사람이 똑같은 얘기를 하는데 (김 부원장은) 왜 부인하고 있나, 이런 상황”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지난해 4~8월 정 변호사가 남욱 변호사 측근인 이모씨로부터 현금 총 8억4700만원을 받아 4차례에 걸쳐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에게 건넸고, 이 돈은 김 부원장에게 전달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중 1억원은 ‘배달 사고’로, 1억원은 지난해 9월 유 전 본부장이 남 변호사에게 다시 돌려준 것으로 본다.
앞서 유 전 본부장은 김 부원장에게 자금을 전달한 의혹에 대해 “20억원 달라고 해서 7억원 정도, 6억원 정도 전달했다” “작년이다. 대선 경선할 때”라고 언론에 말했다. ‘자금을 만든 사람’인 남 변호사는 8억원대 현금 조성 의혹과 관련해 “돈은 내 사업체에서 나온 게 맞는다”는 취지로 검찰에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가 운영하는 회사의 자금 담당자 이씨는 전달된 돈 액수와 시기 등을 기록한 메모를 검찰에 제출했다. 정 변호사 측도 현금 전달에 대해 “남욱이 시킨 심부름”이라고 했다. 그는 지난해 4월쯤 돈이 건네진 곳으로 의심되는 부동산업체 유원홀딩스 사무실에서 김 부원장을 목격한 적이 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금 흐름에서 김 부원장 앞 단계에 있는 이들의 진술이 비교적 일치하는 데 반해 김 부원장 측은 “거대한 조작의 중심에 서 있다”고 강하게 부인하는 상황이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부장검사 강백신)는 25일 김 부원장을 사흘 연속 조사했다. 수사팀은 이날 유 전 본부장도 소환조사했다.
이 대표 측근 정성호 민주당 의원은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어떻게 정치자금을 받을 때 돈 주는 사람 따로 있고, 전달한 사람을 몇 단계 걸쳐서 받겠나. 굉장히 위험한 것”이라며 “그게 김 부원장한테 전달됐다는 직접 증거는 없다”고 반박했다.
한편 경찰은 유 전 본부장과 사실혼 관계의 여성에 대해 신변보호 조치를 하기로 결정했다. 두 사람 주거지 주변에 순찰을 강화하고, 필요할 경우 임시숙소나 스마트워치 등도 제공한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