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상 더불어민주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을 상대로 한 수사는 성남FC 불법후원금 사건, 백현동 개발 비리 사건에 이어 대장동 민간사업자들로부터의 향응 및 증거인멸교사 의혹으로까지 확대되는 모습이다. 정 실장에 대한 수사는 곧 이재명 민주당 대표 수사의 직전 관문처럼 인식돼 왔다. 사건들 중에는 정 실장 혐의 꼬리가 잡힌 것도 있고, 과거의 의혹이 재차 점검되는 사건도 있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부장검사 강백신)는 정 실장과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 등이 대장동 민간업자들에게 부적절한 향응 접대를 받은 정황을 잡고 24일 수사 중이다. 검찰은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본부장이 2013년 9~12월 ‘성남시 고위공무원’과 ‘성남시의원’ 등과 유흥주점을 방문, 남욱 변호사 등의 비용으로 술과 향응을 즐겼다고 위례신도시 사건 공소장에 기재했다.
이때 성남시 고위공무원은 정 실장, 성남시의원은 김 부원장을 칭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유 전 본부장은 위례신도시 사건 수사 때 검찰에 관련 진술을 했으며, 최근 언론에도 “정진상이 나하고 술을 100번, 1000번을 마셨다” “(그러면서) 술값 한 번 낸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이미 유흥 비용을 대납한 남 변호사와 해당 유흥주점 종업원이 주고받은 문자메시지 내역을 복원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해당 종업원도 불러 당시 상황을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실장은 유 전 본부장이 대장동 비리와 관련해 지난해 9월 검찰 압수수색을 받기 직전 “휴대전화를 버리라”고 시켰다는 의혹에도 휩싸여 있다. 유 전 본부장이 실제 창밖으로 휴대전화를 내던져 당시 검찰은 휴대전화를 곧바로 확보하지 못했었다. 유 전 본부장이 정 실장, 김 부원장과 마지막 통화를 했다는 사실은 추후 드러났다. 정 실장은 “평소 알던 유 전 본부장의 모습과 너무나 달라 직접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통화 경위를 설명한 바 있다. 하지만 유 전 본부장은 당시 휴대전화를 버리라는 당부를 들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성남지청은 정 실장이 이 대표의 뜻에 따라 성남FC를 실질 운영했다고 본다. 당시 대표이사는 “정 실장을 이 대표의 대리인으로 알았다”고 검찰에서 진술했다. 검찰은 정 실장과 친분이 있는 직원들에게 수억원의 성과급이 지급됐고, 수차례 해외 출장 비용도 성남FC가 부담했다고 관련 공무원의 공소장에 적었다. 과거 성남시의회에서는 그가 성남시 의사결정 과정에 큰 영향력을 갖는다는 이유로 “모든 것이 ‘거기(정 실장)’를 거쳐야 하느냐”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정 실장은 대장동 사업 관련 2014년 5000만원을 받았다는 의혹 등에 대해 이날 “일고의 가치도 없는 허구 그 자체”라고 주장하는 입장을 냈다. 그는 “저는 이미 검찰·경찰의 소환에 응해 수차례 조사를 받았고, 지난달 16일에는 압수수색을 당해 핸드폰 등도 빼앗겼고 출국금지도 당했다”고 강조했다.
이경원 조민아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