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근로자 사망 사고와 관련해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 등으로 입건된 강동석 SPL 대표이사가 24일 국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해 연신 고개를 숙였다. 강 대표이사는 “모든 것이 저의 책임”이라며 거듭 사죄했다. 하지만 사망 사고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2인1조’ 작업 지침에 대해선 항상 모든 것을 함께해야 한다는 작업규정은 없다고 해명했다.
이날 고용노동부 등을 대상으로 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서는 지난 15일 경기도 평택시 SPL 제빵공장에서 샌드위치 소스 교반기에 끼어 숨진 20대 근로자 사망 사고와 관련해 집중 질의가 이뤄졌다.
여야 의원들은 강 대표이사에게 2인1조 원칙이 지켜지지 않은 이유와 사고 다음 날부터 샌드위치 공정이 곧바로 가동된 배경을 조목조목 물었다. 이에 강 대표이사는 “내부 작업 표준서에 의하면 소스 배합이라고 하는 일련의 공정을 두 사람이 함께하는 작업으로 정의돼 있다”며 “2인1조 규정이 내규에 있는 것은 아니라고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해당 내용이 곧 2인1조 작업을 뜻하는 것 아니냐’ ‘책임을 회피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지적에 강 대표이사는 “항상 모든 것을 함께해야 한다는 그런 작업규정은 없다”며 “두 가지의 차이에 대해서는 여전히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고 했다.
사고 발생 다음 날 현장을 흰 천으로 가린 채 샌드위치 공정을 가동한 것에 대해서도 여야 의원들은 “작업 재개를 누가 지시했느냐” “SPC 회장이 시켰느냐”고 거듭 추궁했다. 강 대표이사는 “이번 사건과 관련해 어떠한 외압도 연락도 받은 것이 없다”면서도 끝내 명확한 답변을 하지 않고 “죄송하다”는 말만 반복했다.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SPC그룹은 최근 5년간 758건의 산재가 있었다”며 “오늘 국감으로 끝날 일이 아니라 반드시 청문회를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고용부의 책임 있는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전해철 환노위 위원장은 “중대재해법이 통과된 뒤에도 더 중대한 사고가 났다면 납득할 만한 대책에 대해 이야기해야 하지 않느냐”며 “끼임 사고가 굉장히 많이 났음에도 그동안 고용부가 위중하게 생각하지 않은 것”이라고 질타했다. 이에 이정식 고용부 장관은 “획기적인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이라며 “선택과 집중이 되고 있는지 전반적으로 들여다보고 강력하게 감독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세종=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