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사고로 인한 ‘카카오 먹통 사태’의 책임 소재를 두고 SK 측과 카카오의 신경전이 격해지고 있다. 화재 발생 사실을 알린 시각과 방식을 두고 양측이 평행선을 그리는 중이다.
SK 측은 통화 내역까지 공개하며 입주사 통보 의무를 다했다고 주장한다. 반면 카카오 측은 사태의 본질은 통화 시간이 아니라 ‘화재 발생’이라며 당국 조사 결과를 봐야 한다고 맞섰다. 지분까지 나누며 ‘혈맹’ 관계를 맺었던 두 회사의 우호 관계에 균열이 가해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SK㈜ C&C는 지난 21일 사고 당일인 지난 15일 카카오, 카카오페이 관계자들에게 화재 사실을 전파한 통화 내역을 공개했다. 화재 전파 및 진압 과정에서 물 사용·전력 차단에 대해 카카오에 빠르게 전달했다는 증거를 내놓은 것이다. 물 사용과 전원 차단에 대해 일방적인 통보를 했을 뿐 사전협의가 없었다는 카카오의 주장을 반박했다.
SK㈜ C&C에 따르면 화재 발생 후 이를 알리는 1차 통화는 15일 오후 3시35~42분에 이뤄졌다. 이후 오후 4시40~43분 화재 진압 시 물을 사용해야 하고 전원 차단이 불가피하다고 알리는 2차 통화를 했다. SK 측은 “주요 통화내용은 전화 앱 자동녹음 기능에 따라 파일이 남아 있다”고 강조했다.
카카오는 “통화 시간은 중요한 쟁점이 아니다”라고 맞섰다. 화재 발생 순간부터 카카오의 서비스가 중단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연락 여부는 사태의 본질과 거리가 있다는 것이다.
카카오 관계자는 23일 “서비스 장애 장기화의 책임과 별개로 화재가 발생한 것 자체가 핵심이다. 타임라인의 경우 관계 당국의 조사 결과가 나오면 확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계에서는 두 회사가 지분 교환 형식으로 맺은 일종의 ‘혈맹’이 이번 사태를 계기로 깨질 수 있다고 예측한다. 두 회사는 2019년 3000억원 규모의 지분을 맞교환했다. 이후 두 회사는 통신·커머스·디지털콘텐츠·미래 정보통신기술(ICT) 등 4대 분야에서 협력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데이터센터 화재 책임 문제가 장기화하면 사업 협력에 균열이 생길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한편, 24일 열리는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종합감사에는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전 이사회 의장), 홍은택 카카오 대표, 박성하 SK㈜ C&C 대표, 최수연 네이버 대표 등이 증인으로 참석할 예정이다.
당초 국회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불렀지만, 최 회장은 자신이 직접 기획한 ‘일본포럼’이 같은 날에 개최된다며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