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안과 우세준 교수,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팀은 경기도 성남 거주 노인 430명 대상으로 초기 망막 두께를 측정하고 이후 5년간 시행한 인지기능 검사 결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여러 망막층 중 황반부 신경섬유층의 두께가 하위 25%(231마이크로미터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치매에 걸릴 확률이 약 5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속얼기층 등 다른 망막층은 미래 인지기능 저하와 뚜렷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신경섬유층이 얇은 노인은 인지기능 평가점수(CERAD-TS)가 초기 평균 65.4점에서 시작해 매년 3.79점 감소해 신경섬유층이 두꺼운 노인층(68.5점 시작, 연 2.42점 감소)보다 인지기능 감소폭이 가팔랐다. 이런 양상은 다른 인지기능평가 도구(MMSE)에서도 동일했다. 신경섬유층 두께가 얇은 그룹에서 향후 경도인지장애(치매 전단계)나 알츠하이머병을 갖게 될 확률은 52.7%로 산정돼, 대조군(11.3%)을 크게 웃돌았다.
김기웅 교수는 “알츠하이머병 등 인지기능 장애와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이 규명되고 있다”면서 “망막 구조가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을 밝혀낸다면 치료법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의학협회 안과학저널 최신호에 발표됐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