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중앙지검은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의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와 관련한 민주연구원 압수수색 집행이 더불어민주당 저지로 무산된 것에 대해 20일 “법치주의를 훼손하는 행위”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날 새벽 구속 기간 만료로 석방된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회유설’에는 “검찰 수사를 공격하려는 악의적 프레임”이라고 항변했다.
김 부원장을 지난 19일 체포해 조사를 진행 중인 서울중앙지검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국민적 의혹이 큰 사건에 대한 수사와 압수수색영장 집행을 정치 보복, 국정감사 훼방으로 호도하는 주장에 전혀 동의할 수 없다”고 밝혔다. 앞서 법원으로부터 영장을 발부받은 검찰은 김 부원장 체포 이후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 내 민주연구원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도했지만, 민주당 측과의 대치 끝에 철수했다. 이 과정에서 수사팀 차량에 일회용 음료컵과 계란 등이 투척되기도 했다. 서울중앙지검은 “영장 집행을 물리력으로 저지하는 것은 법질서를 부정하는 행위”라며 “심히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수사팀은 영장 재집행 시기와 방식을 검토하며 관련 수사를 이어간다는 입장이다. 김 부원장에 대해서도 체포 시한이 만료되는 21일 오전까지 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검찰은 유 전 본부장을 비롯해 현금 8억원을 김 부원장에게 전달했다는 혐의를 받는 남욱 변호사 등 ‘대장동 일당’에 대해서도 조사를 진행 중이다. 검찰 관계자는 “공적 관심이 큰 사안에는 물증 확보가 중요하므로 (증거인멸 등을) 유념해 진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김 부원장이 2014년 이 대표의 성남시장 재선 시기에도 유 전 본부장에게 1억원을 받았다는 진술을 확보하고 사실 관계 및 공소시효 문제 등을 따져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장동 개발사업이 진행되던 2017년에도 김 부원장이 뒷돈을 수수한 의혹이 있다는 보도도 있었다. 개발사업을 성공시켜 막대한 이익을 챙기려 한 대장동 일당과 이 대표가 나섰던 각종 선거에서 자금이 필요했던 김 부원장 등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져 오랜 유착 관계가 형성됐다는 게 검찰이 보는 기본 구도다.
김 부원장은 대장동 일당과의 연결고리인 유 전 본부장과 10여년 전부터 의형제처럼 지냈다고 한다. 유 전 본부장은 현재 위례신도시·대장동 비리 의혹을 넘어 불법 대선자금 의혹의 ‘키맨’으로 거론된다. 검찰은 구속기간 만료로 이날 새벽 석방된 유 전 본부장을 다시 불러 조사했다.
양민철 구정하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