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불법 대선자금” 李측 “후원금 충분했다”

입력 2022-10-21 04:08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20일 국회에서 열린 대검찰청 국정감사에서 ‘보복수사 중단하라’ 등 손팻말을 들고 일방적으로 국감 개회 선언을 했다면서 국민의힘 소속 김도읍(왼쪽) 법사위원장 자리를 둘러싼 채 거세게 항의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오후 3시 개의를 선언했다가 소란이 계속되자 30여분 뒤에 감사 중지를 선언했다. 서영희 기자

검찰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최측근인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이 억대의 불법 대선자금을 수수했다고 보는 시점은 지난해 4~8월이다.

이 대표가 대선 후보로 선출됐던 민주당 본경선은 지난해 9월 4일 시작돼 10월 10일 막을 내렸다. 일단 검찰이 의심하는 기간은 민주당 본경선이 개막되기 전이다.

하지만 이 시기는 이 대표가 본격적으로 대선 출마를 준비했던 시점과 겹친다. 민주당 대선 후보를 8명에서 6명으로 줄인 예비경선(컷오프)도 7월 11일 실시됐다.

특히 이 대표는 지난해 7월 1일 “더 새로운 이재명정부로 국민 앞에 서겠다”며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이에 대해 이 대표 측 핵심 관계자는 “대선 출마 선언 직후 후원금 모금을 진행했는데 목표액을 금방 채웠다”면서 “불법적인 대선 자금을 받을 이유가 전혀 없었다”고 강조했다. 다른 핵심 관계자는 “대장동 사안은 이 대표가 경기지사 시절부터 계속 공격받았던 이슈”라며 “이런 상황에서 이 대표의 최측근인 김 부원장이 대선 경선을 앞두고 대장동 관계자로부터 돈을 받았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주장했다.

사실에 조금 더 접근하기 위해 지난해 4∼8월 시점으로 시계를 돌려볼 필요가 있다.

먼저 지난해 4월 당시 경기지사였던 이 대표는 경기도정에 집중했던 것으로 보인다. 언론 등에 공개된 이 대표의 4월 공개 일정은 코로나19 대응과 경기도정 관련 일정이 대부분이었다.

이 대표가 본격적으로 대선 준비에 나선 것은 지난해 5월부터다. 이 대표는 5월 12일 서울에서 ‘민주평화광장’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 대표의 대선 승리를 위해 뛰었던 이 조직은 1만5000여명 규모의 전국조직으로 몸집을 불렸다.

이 대표는 5월 20일 국회의원 35명이 이름을 올린 ‘대한민국 성장과 공정포럼’(성공포럼)을 발족하며 본격적인 세 규합에 나섰다. 성공포럼은 사실상의 ‘대선 캠프’라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이 대표와 가까운 인사들은 이때도 실질적인 대선 조직은 가동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 대표 경선캠프부터 합류했던 한 관계자는 20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이 대표가 5월에도 도정에 집중하겠다고 해서 외곽에 있는 사람들이 오히려 안절부절못했다”고 말했다.

이 대표의 본격적인 대선 행보는 지난해 6월 시작됐다. 이 대표는 당시 민주당 내 논란이 됐던 대선 경선 연기론에 수차례 직접 반박했고, ‘친문(친문재인) 핵심’인 김경수 경남지사와 회동하는 등 대선 주자로 움직였다.

6월 30일 이 대표는 대선 예비경선 후보로 등록하고, 다음 날 대선 출마 선언을 했다. 이 대표 캠프도 지난해 6월 하순 구성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 대표가 자신의 대선 캠프인 ‘열린캠프’ 인선을 발표한 것은 지난해 7월 15일이다. 검찰에 체포된 김 부원장이 대선 자금 조달과 조직 관리 업무를 하는 총괄부본부장에 공식 임명된 것도 이때다.

민주당은 코로나19 사태가 심각해짐에 따라 당초 9월 초로 예정했던 본경선을 연기해 10월 10일 이 대표를 민주당 대선 후보로 확정했다.

이 대표도 불법 정치자금 의혹을 강하게 부인했다. 그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검찰이) 대선자금을 운운하는데, 불법자금은 1원도 쓴 일이 없다”며 “김 부원장은 오랫동안 믿고 함께했던 사람으로 저는 여전히 그의 결백함을 믿는다”고 강조했다.

최승욱 안규영 김승연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