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알림·인지 시점 차 10분… SK·카카오 또 공방

입력 2022-10-21 04:07
지난 15일 오후 화재가 발생한 경기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SK 판교 캠퍼스 A동에서 소방관들이 진화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기도 판교 SK㈜ C&C 데이터센터 화재 사고 이후 카카오의 서비스가 정상화됐지만, 도리어 책임 공방은 뜨거워지고 있다. ‘미완의 정상화’라는 비판에 직면했다. 원인 규명부터 보상, 책임 소재를 가르기 위한 법정 공방에 이르기까지 완전한 수습으로 가는 길은 길어질 전망이다.

카카오와 SK㈜ C&C는 ‘서비스 먹통 사태’의 원인·책임을 두고 공방전을 펼치고 있다. 일단 화재 발생 사실을 알린 시점을 두고 다른 말을 한다. SK 측은 지난 15일 오후 3시19분에 판교 데이터센터 A동의 지하 3층 전기실 배터리에서 불이 났고, 오후 3시33분에 카카오를 비롯한 데이터센터 입주회사들에 알렸다는 입장이다. 또 데이터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던 카카오 측 직원들도 화재 상황을 인지했기 때문에 ‘알림 지연으로 대처가 늦어졌다’는 건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반면, 카카오는 이날 오후 3시40~42분쯤에서야 화재를 인지했다고 말한다. 당초 오후 4시3분에 인지했었다고 밝혔었지만 이를 뒤늦게 수정했다. 카카오는 오후 3시27분에 인프라 장애 발생을 알아챘다고 한다. 카카오 관계자는 “인지 시점의 경우 내부 진술에 의존하고 있어 사후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고 말했다. ‘10분의 간격’을 놓고 각자 주장이 다른 것이다. 결국 진실은 경찰 등의 관계기관 조사로 밝혀질 수밖에 없다.

이와 별개로 SK 측은 관리 부실을 질타하는 목소리에 진땀을 빼고 있다. 화재 발생 4시간과 1시간 전에 각각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이상 상황을 감지했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다. SK 측은 BMS 데이터를 공개하며 반박했다. “화재 발생 추정 리튬이온배터리의 상태를 보여주는 BMS 배터리 그래프를 보면, 사고 시점까지 아무 변화 없이 안정적이었다”고 설명한다.

카카오는 장애를 겪은 계열사의 서비스 보상을 둘러싼 손해배상 및 구상금 청구소송을 해결해야 한다. 카카오 서비스로 생업을 유지하는 이들의 피해보상 요구가 거셀 전망이다. 여기에다 카카오 임원들이 형사 고발돼 이에 대한 대응에도 나서야 한다.

카카오에서 다음 포털 서비스를 복구하면서 장애 기간에 신규 전송된 메일을 모두 반송 처리한 걸 두고 거센 비판도 일고 있다. 이용자들은 5일 동안 전송된 메일의 목록조차 확인할 수 없는 것은 사실상 ‘데이터 유실’과 같다고 성토한다.

정부는 20일 ‘국내 데이터센터 사업자 긴급 점검회의’를 열고 재난 상황에서 데이터센터 정상 작동을 위한 기준 마련에 착수했다.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은 “데이터센터는 디지털 시대에 핵심적 인프라다. 위기 상황에도 끊임없는 서비스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점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