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검찰의 당사 압수수색을 저지한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법치주의에 대한 정면 도전”이라며 총공세를 펼쳤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과거 발언들을 인용해 이 대표를 비판하는 ‘되치기’ 전략도 구사했다.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20일 비대위 회의에서 “민주당이 검찰의 공무 집행을 방해한 행위는 또 다른 범법 행위”라며 “떳떳하다면 민주당 문을 열고 검찰의 압수수색에 응하라”고 촉구했다. 주호영 원내대표도 “압수수색을 거부하는 것은 정치적으로 ‘구린 것’이 많다는 인상을 준다”고 꼬집었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의 이런 반발이 오히려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를 키우는 행태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여당 간사인 정점식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사 전체도 아니고 부패 사범의 사무실만 압수수색하겠다는데 영장 집행을 방해하는 것은 자신들이 부패 사범과 한통속이고 ‘더불어부패옹호당’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를 정조준한 발언도 쏟아졌다. 김종혁 국민의힘 비대위원은 “괜한 의원들만 방패막이로 내몰지 말고 본인이 직접 반박하거나 해명해야 하지 않나”라고 말했고, 양금희 수석대변인은 “이 대표에게 남은 선택지는 죄를 실토하고 석고대죄하는 것뿐”이라고 압박했다.
이 대표의 과거 발언도 소환됐다.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비대위 회의에서 이 대표가 성남시장이던 2018년 1월 트위터에 올린 글을 그대로 읽었다. ‘권력을 이용해 공동체를 파괴하고 법질서를 어기며 사익을 취한 자들에 대한 단죄가 정치보복이라 불린다면 그런 정치보복은 끊임없이 초고강도로 계속돼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성 정책위의장은 이어 “이 대표는 정의와 상식 구현에 왜 자신은 빠지려 하나. 공동체를 파괴하고 법질서를 어기며 사익을 취한 자들에 대한 단죄를 왜 정치보복이라 말하나”라고 반문했다.
국민의힘 당권 주자들도 가세했다. 김기현 의원은 페이스북에 ‘내로남불 이재명 왈(曰)’이라고 적은 뒤 “도둑 잡는 도둑에겐 보복으로 보일 수 있겠지만 제겐 보복이 아니라 정의와 상식의 구현으로 보인다”는 이 대표의 2017년 7월 SNS 글을 그대로 올렸다.
권성동 의원은 전날 페이스북에 “이 대표는 이제 뭐라고 변명하시겠습니까. ‘측근이라고 하니 진짜 측근인 줄 알더라’고 발뺌하시겠습니까”라고 썼다. 이 대표가 대선 후보 시절 “존경하는 박근혜 대통령이라고 하니 진짜 존경하는 줄 알더라”고 했던 말을 비꼰 것이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