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아찔한 도발… 민주, ‘친일 공세’ 일단 숨 고르기

입력 2022-10-17 00:03
북한이 군용기 10여 대를 동원해 서·동부 비행금지구역 인근까지 접근해 위협비행한 데 이어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지난 14일 오후 서울역 대합실에 관련 보도가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정부·여당을 향해 화력을 집중해온 ‘친일 국방’ 공격을 멈추고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한·미·일 해상 연합훈련을 ‘친일 국방’이라고 몰아붙이는 것에 대한 여론이 기대만큼 우호적이지 않은 데다 북한의 도발이 위험 수위를 넘나들고 있기 때문이다. 안보 불안의 책임을 계속 북한이 아닌 현 정부에 돌리다가는 자칫 여론의 역풍을 맞을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안호영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15일 논평에서 “북한의 계속되는 무력 도발과 9·19 군사합의 위반을 강력 규탄한다”며 “북한은 한반도는 물론이고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 남북 간 신뢰를 저해하는 무력시위를 멈추기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를 향해서는 “굳건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군사적 긴장 완화와 한반도 안보 환경의 안정을 위한 외교적·평화적 노력을 경주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번 논평은 윤석열정부의 ‘안보 무능’을 집중 질타하던 기조에서 한발 물러선 것으로 평가된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16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그동안 북한과 현 정부에 대한 비판을 병행하다 보니 북한을 향한 비판 목소리는 묻힌 측면이 있었다”며 “앞으로는 정부가 명백한 실책을 범한 경우를 제외하면 북한 규탄에 주력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친일 공세에 부정적인 여론도 상당하다는 판단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 지도부의 한 의원은 “북한의 연이은 고강도 도발로 ‘반일’ 감정보다 ‘반북’ 감정이 높아지는 추세로 보고 있다”며 “안보 비판에 ‘톤다운’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민주당은 대신 대통령실과 감사원 유착 의혹인 ‘대감 게이트’를 핵심 이슈로 띄우겠다는 계획이다. 문재인정부를 겨냥한 감사원의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감사의 본질을 대통령실과 감사원의 유착으로 규정하고 철저히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임오경 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윤석열 정권의 정치보복은 사상누각 같은 권력의 붕괴를 자초하는 방아쇠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아울러 민생 역량도 최대한 부각시킨다는 방침이다.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 등에게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조속한 개정을 요청한 사실을 15일 공개했다. 이 대표는 16일 페이스북에선 “지금은 관리를 넘어선 비상 대책이 필요한 때”라며 “불법사채 무효법, 금리폭리 방지법, 신속회생 추진법 등 ‘가계 부채 3법’을 최우선 과제로 조속히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