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기자] 이주호, 정책 검증 더 집중하면 어떨까

입력 2022-10-14 04:05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요청서가 지난 11일 국회로 보내져 검증 작업이 본격화됐다. 유기홍 국회 교육위원장(더불어민주당)은 “이명박정부 당시 각종 갈등과 논란을 일으켰고 공교육 시스템을 대혼란에 빠뜨렸던 인물”로 규정하고 거센 공세를 예고했다.

이번 인사청문회는 ‘미래 세대를 어떻게 키울 것인가’에 검증의 초점이 맞춰졌으면 한다. 이 후보자는 인공지능(AI)에 크게 매료된 상태로 보인다. 그가 펴낸 책, 강연 활동 등 최근 행보를 보면 AI를 교육 문제 해결의 ‘만능키’로 여기는 듯하다. AI를 활용한 교육이 이뤄지면 대학수학능력시험도 필요 없어질 것이란 구상을 내놓기도 했다(국민일보 2022년 10월 13일자 14면 참조).

그의 구상을 요약하면 이렇다. 교사와 AI가 협력해 평소에 학생들을 평가하고 이를 누적해 대입에 반영하자는 것이다. 그는 이런 방식의 평가를 레이더에 잡히지 않은 스텔스 전투기에 비유해 ‘스텔스 평가’라고 했다. 이러면 수능 같은 시험이 필요 없어진다는 얘기다.

솔깃한 얘기지만 현실화될 경우 ‘폭탄’이 될 위험성도 있다. 자칫 학생들을 ‘AI 평가 감옥’으로 몰아넣을 수 있다. 물론 이 후보자가 ‘AI는 교사를 도와주는 도구일 뿐’이라고 강조하고는 있지만 교육 현장에 불러올 파장은 엄청날 것이다.

이 후보자가 이명박정부 때 벌인 ‘교육 실험’은 교육계에 적잖은 흔적을 남겼다. 10년이 지난 현재도 그렇다. 학생부종합전형의 원형인 입학사정관제, 자율형사립고 확대, 일제고사식 학업성취도평가 등 그의 정책을 나열하기 어려울 정도다. 그리고 그 실험은 ‘이주호 시즌2’에도 계속될 듯하다. 도덕성 검증도 중요하지만 정책 검증에 보다 방점이 찍혔으면 하는 이유다. 학생과 학부모들이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한두 개가 아니다.

이도경 사회부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