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화성 동탄, 수원 호매실 등 교통난이 심각한 지역 별로 개선 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버스 증차 등 단기대책을 통해 빠르게 교통난을 해소하겠다는 계획이지만, 해당 지구 주민들은 내년 말에나 효과를 체감할 수 있을 전망이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는 신도시 등 광역교통 불편을 완화하기 위해 집중관리지구(37개), 일반관리지구(69개), 중장기 관리지구(22개)로 분류하고 지구별 대책을 마련한다고 12일 밝혔다. 국토부는 그간 특별대책지구, 광역교통축 지정 등 교통대책을 마련해 왔지만 이행률이 60%에 그쳤고, 이번에 단기 대책을 추가로 내놨다.
집중관리지구에는 수도권 29개, 지방 8개 지구가 선정됐다. 이 지역에는 광역버스를 증차하거나 신설하고, 출퇴근 전세버스와 2층 전기버스를 도입한다.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도 늘린다. 운행 노선이나 횟수를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수요응답형 교통수단(DRT)도 도입한다. 집중관리지역별 교통 대책은 수원 호매실과 화성 동탄2 지역 먼저 이달 중 발표한다. 나머지 지역은 내년까지 순차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라 실제 체감 효과는 내년 말에나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일반 관리지구에서는 광역버스 협의체를 운영해 입석 현황을 분석하고, 광역버스 증편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계획이다. 성남 판교, 고덕 강일, 하남 풍산 등 69곳이 지정됐다.
중장기 관리지구는 입주 시작이 1년 이상 남은 지구로, 개선 대책 이행 현황을 점검해 이행률이 낮거나 지연되는 경우 개선을 권고한다는 방침이다.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인천 계양 등 3기 신도시가 모두 포함됐다.
강희업 대광위 상임위원은 “신도시 또는 큰 도시 개발사업 지구에서 광역 교통 개선대책을 수립해서 이행하고 있지만, 이행률도 떨어지고 계획 수립이 장기간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며 “도로, 철도는 시설 확충에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주민들의 출퇴근 불편을 단시간 내 완화할 수 있는 대중교통 중심의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