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일 한국전력 사장이 11일 전기요금 지역별 차등 적용 방안을 도입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정 사장은 또 최근 글로벌 에너지 가격 상승과 관련해 “오일쇼크에 비견될 정도의 큰 위기”라며 적극적인 대응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 사장은 전남 나주 한전 본사에서 열린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현재 전력의 공급과 수요가 (지역적으로) 불균형이다 보니 전력 생산비와 운송비가 과하게 드는 게 사실”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이 “전기 생산은 지역에서 하지만 소비는 수도권에서 훨씬 많이 하는 소비 역차별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한 데 대한 답변이었다.
정 사장은 “박 의원 주장에 공감한다”면서 “(전력 생산비와 운송비 등) 비용을 줄이려면 전력 생산지와 소비지가 붙어있고, (생산지와 소비지 간) 균형을 이루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정 사장은 이를 위해 전력 생산지에 에너지 다소비 시설이나 산업이 유치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제시했다. 에너지 생산시설을 에너지 다소비 지역 인근에 조성하는 방안도 제안했다. 한전은 지난해부터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 도입이나 전력망 사용료 부과체계 개편 등에 관한 연구용역을 진행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정 사장은 한전의 재무 상황 악화와 관련해 “연료비 폭등이 워낙에 큰 요인이고 기저 전원인 원전과 석탄 이용률이 떨어진 것이나 요금 조정이 지연된 것도 원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글로벌 에너지 산업은 오일쇼크에 비견될 정도의 큰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오늘(11일) 전력도매가격(SMP)이 ㎾h(킬로와트시)당 270원을 넘었다. 통상 70원대를 기록한 것에 비해 4배를 넘는다”고 강조했다.
이날 국감장에서 여야는 한전 적자를 두고 설전을 벌였다. 국민의힘은 한전 적자가 문재인정부 시절 탈원전 정책과 전기요금 조정 지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인한 연료비 인상 탓이라고 맞섰다. 송기헌 민주당 의원은 “정부가 재무 상황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한전 산하) 발전사들과 한전을 묶어서 재무위험기관으로 평가한 건 한전의 지분과 우량 자산을 민간에 팔고 민영화하기 위한 포석 아니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정 사장은 “아무리 재무적으로 어렵다 하더라도 핵심 역량과 깊이 관련 있고 수익성이 높고 보유하는 게 바람직한 사업을 매각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의혹을 부인했다.
세종=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