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 부처에서 언론 보도 관련 해명성 설명자료가 풍년이다. 관가에서는 과거보다 늘어난 설명자료 배포 이면에 대통령실 지시가 있다는 얘기가 많이 나온다. 특히 지난 8월 이관섭 국정기획수석 취임 이후 일선 부처에 설명자료 배포를 주문하는 일이 부쩍 늘었다고 한다. 홍보수석실 산하였던 국정홍보비서관 조직은 이 수석 취임 이후 국정기획수석실 산하로 바뀌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 4일 설명자료를 통해 윤석열 대통령을 풍자한 카툰 수상작 ‘윤석열차’의 주최 기관에 대해 엄중 경고를 내리겠다고 밝혔다가 표현의 자유 침해 논란을 빚었고, 이튿날에는 유병호 감사원 사무총장과 이관섭 대통령실 국정기획수석이 설명자료를 내는 것을 협의하는 문자메시지가 노출되면서 감사원의 독립성이 도마 위에 올랐다. 이런 논란이 불거진 상황에서도 정부 부처에서는 하루가 멀다고 설명자료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부처 공무원은 10일 “보통은 주요 일간지에 크게 보도된 사안이나 포털 등에서 파급력이 큰 기사에 대해서만 대응하는데 최근에는 신문 칼럼에 대해서도 설명자료를 내라는 지시까지 내려온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공무원들 사이에서는 설명자료에 회의적인 목소리가 크다. 한 경제 부처 공무원은 “정부 부처가 설명자료를 낸다 한들 언론인이나 관계기관 사람들 외에 누가 보겠느냐”며 “정말 사실이 아닌 것만 해명하고, 나머지 평가는 언론의 몫으로 놔두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기자들에게 배포한 설명자료를 부처 홈페이지에도 올리는데, 보통 조회 수가 수백 건에 그친다. 사회 부처의 한 공무원은 “원래 예정된 업무가 있는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설명자료를 만들라 하면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다들 퇴근한 뒤에 내는 설명자료가 무슨 쓸모가 있겠느냐”고 한숨을 내쉬었다.
세종=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