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밤중 난데없는 미사일 발사와 낙탄(落彈)에 따른 폭발, 굉음으로 강원도 강릉시민들이 밤새 공포에 떨었다. 특히 군의 구체적인 상황 공유가 다음 날 아침에야 이뤄지면서 밤새 강릉 지역과 온라인에선 각종 추측과 유언비어가 난무했다.
4일 밤 11시부터 5일 새벽 1시30분까지 강릉의 제18전투비행장 인근에서 섬광이 하늘로 솟고, 큰 불길과 연기가 번졌다. 또 엄청난 폭발음이 몇 차례 이어졌다. 강원소방본부 119상황실에는 새벽에 “비행장에서 폭탄 소리가 난다” “비행기가 추락한 것 같다”는 신고가 10여건 접수됐다. 또 강릉시청에도 폭발음과 화염 이유 등을 묻는 신고가 10여건 이어졌다.
하지만 주민들은 밤사이 행정 당국으로부터 제대로 된 답변을 듣지 못했다. 군 당국이 밤사이 계속 침묵한 탓이다. 신고를 받고 현장으로 출동하던 소방 당국은 부대 측으로부터 ‘훈련 중’이라는 설명을 듣고 3분 만에 복귀하기도 했다.
소셜미디어와 온라인커뮤니티에선 “전쟁이 난 것 아니냐” “비행기가 추락한 것 아니냐” 등 혼란스러워하는 시민들의 반응이 밤새 이어졌다. “강릉이 이슈가 됐는데 기사 하나 없다. 막고 있는 듯” 등의 글도 올라왔다. 실제로 이 부대의 미사일 사격은 5일 오전 7시까지 엠바고(보도 제한)가 걸려 있었다.
밤사이 소동은 5일 오전 합동참모본부의 공식 발표 이후에야 잠잠해졌다. 합참은 북한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도발에 대응해 동해상으로 연합 지대지미사일인 에이태큼스 4발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불길과 화염, 폭발음은 군 당국이 발사한 ‘현무-2’ 탄도미사일이 발사 후 해상이 아닌 기지 내에 떨어지면서 발생한 것으로도 확인됐다.
강릉이 지역구인 김용래 강원도의원은 “아무리 군의 보안이 중요하다고 하지만 사고 이후 시민들에게 최소한의 정보를 제공했어야 했다”며 “군 당국은 이번 사태에 정확한 해명과 사과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강원도당은 성명을 통해 “낙탄 사고가 일어난 곳은 강릉 시내에서 멀지 않은 곳으로 자칫 궤도를 달리해 민가로 떨어졌다면 끔찍한 참사로 이어질 수 있었다”며 “정부와 군 당국은 철저한 진상규명을 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라”고 주장했다.
강릉=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